흥미로운 모험담을 담아낸 이 소설은 스코틀랜드 출신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집필한 ‘보물섬’(Treasure Island, 1883년)이다. 워낙 유명한 덕에 작품은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콘텐트로 재탄생하며 전 세계 사람의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올해, 이 소설은 반클리프 아펠이 선보인 하이 주얼리로 다시 한번 새 생명을 얻었다.
보물섬, 진귀한 보석이 되다
‘트레저 아일랜드’는 반클리프 아펠의 새 테마틱 하이 주얼리 컬렉션이다. 브랜드는 쿠튀르∙무용∙문학 등 다양한 예술 문화 분야에서 영감을 받아 하이 주얼리 컬렉션을 만들고 '테마틱'이란 이름을 붙인다. 동명의 소설에서 영감 받은 ‘로미오와 줄리엣’(2019), 우주 세계를 그린 ‘수 레제투왈’ (2021), 유럽의 주요 문화 중심지를 재해석한 ‘르 그랑 투어’(2023) 컬렉션이 대표적이다.
이번 컬렉션도 마찬가지다. 소설에 등장하는 천혜의 자연, 모험 가득한 여행, 등장인물이 구사하는 마법에 브랜드의 창의성과 스타일을 더해 작품을 만들었다. 반클리프 아펠의 회장 니콜라 보스는 “보물섬은 전 세계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할뿐더러 회화∙시∙장식 예술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준다”라며 “책 속 여러 이야기를 생동감 넘치는 주얼리로 승화해 행복의 감정을 끌어내는 것”이 트레저 아일랜드 컬렉션의 탄생 배경이라 밝혔다.
반클리프 아펠의 디자이너와 장인 그리고 보석학자들은 소설 속 주인공들이 난관을 극복하며 보물을 발견하는 과정에 착안했다. 평화로운 해변과 이국적인 동식물,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까지 작품의 소재가 됐다.
여정, 풍경, 보물이 만들어낸 하나의 서사
트레저 아일랜드 하이 주얼리 컬렉션은 크게 3개 챕터로 나뉜다. 첫 번째 장은 ‘바다에서 펼쳐지는 모험’으로, 항해에 관한 이야기와 해양 세계를 다룬다. 소설 속 주인공들이 항해하며 경험한 것을 골드와 젬 스톤을 이용해 주얼리로 만들었다. 주인공과 해적이 함께 탄 히스파뇰라호, 바다에 사는 인어, 넘실대는 파도, 떼 지어 헤엄치는 물고기, 선원들이 배에 묶은 매듭, 다양한 모습을 한 선원들까지 종류도 제각각이다.
두 번째 장은 ‘섬의 탐험’이다. 섬에 도착해 닻을 내린 후 목도한 여러 생명체를 주얼리 제작 대상으로 삼았다. 다이아몬드로 표현한 야자수 잎은 왕관 모양의 네크리스로 바뀌고, 사파이어로 표현한 십여 개 조개껍데기 묶음은 브레이슬릿이 된다. 산호·거북이 등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생명체들도 화려한 주얼리로 탈바꿈했다.
‘트레저 헌터’라 이름 붙인 마지막 장에서는 미지의 섬에 숨겨진 보물들을 표현한 작품이 주를 이룬다. 진귀한 주얼리, 양피지, 고대 문명의 작은 조각상이 네크리스∙브레이슬릿∙링∙클립 등으로 재탄생됐다. 반클리프 아펠은 실제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대륙에서 발견된 주얼리를 재해석해 작품으로 만들었다. 16세기 인도 무굴 제국 시대나 메소아메리카 문명 초기, 10세기에 시작된 페루 북부 해안의 치무 문명과 마야 문명의 유물이 작품 창작의 토대가 됐다.
미스터리 세팅이 만드는 스톤의 눈부심
반클리프 아펠은 이번 트레저 아일랜드 하이 주얼리 컬렉션을 통해 긴 시간에 걸쳐 진화한 주얼리 디자인과 제작 기법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특히 1933년 특허를 받은 미스터리 세팅 기법을 여러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얼리를 몸체에 고정하는 메탈 마운트를 완벽하게 숨기는 방식으로 벨벳을 매만지듯 수십 개의 스톤이 부드럽게 이어지는 효과를 낸다.
더불어 투명도∙컬러∙커팅∙무게 등 엄격한 기준을 통해 선별한 최상급 스톤을 사용해 브랜드의 가치를 이어가는 데 집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