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국방부는 이날 오전 방첩사 정 처장과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해군 준장)을 직무 정지하고 이들을 수도권에 위치한 부대로 대기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방첩사가 계엄령을 사전에 모의한 데 이어 당일 여·야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조를 운영했다”는 야권의 의혹 제기와 관련해 중심에 선 인물들이란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정 처장은 중앙일보에 “불법적인 일은 결코 없었다”며 “참고인 조사든 수사든 조사를 받으면 밝혀질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 사령관과 더불어 이번 계엄에 대비해 준비 문건 등을 사전에 작성했는지 여부와 관련한 질의에 “그럴 리가 있겠나. 절대로 아니다”고 언급했다.
이어 “여 사령관 등 윗선에서 하는 일은 전혀 알지 못 한다"면서도 "그러나 그 밑의 조직들은, 그 날의 팩트를 말씀드리면 다들 놀라실 정도로 ‘(방첩사가)이렇게 실행할 의지가 없었구나’라는 게 조사를 통해 다 밝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처장은 최근까지 여인형 방첩사령관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방첩사 내 주요 실무를 꿰고 있는 인물로 꼽힌다. 지난 달 25일 군 장성 인사에서 임기제 준장으로 진급했다.
다만 이날 정 처장 등의 직무 배제 조치와 관련해 국방부 관계자는 “관련 혐의에 연루됐을 가능성이 큰 인사들에 대한 인사 조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전에 계엄 준비 문건 등을 작성했다는 의혹도 사실일 개연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는 취지다.
야권에선 여 사령관 주도로 방첩사가 이번 계엄령을 사전에 준비했고, 여·야 국회의원 등 요인들의 체포조를 운영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날 “'참고자료' 등이 적힌 방첩사 내부 문건을 제보 받았으며, 여기엔 계엄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통합 방위, 합동수사본부 운영 등에 관한 내용이 있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