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에 텔레그램 신규설치 4배 급증…‘디지털 망명’ 현실로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심야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이후 텔레그램 신규 설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엄령 선포 이후 최종 해제 선언이 나온 다음날까지 이틀에 걸쳐 신규 설치 건수가 4배 안팎으로 뛰며 비상계엄 정국에서 ‘디지털 피난처’로 급부상한 모습이다.

10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계엄령이 선포된 지난 3일 텔레그램의 신규 설치 건수는 4만576건으로 메신저 업종 당일 전체 신규 설치의 절반 가까운 47.09%를 차지했다. 전날 신규 설치 건수가 9016건인 것과 비교하면 4배 넘는 증가세다.

텔레그램 신규 설치는 계엄 정국이 오전까지 지속된 다음날에도 3만3033건에 달했다. 이어 5일과 6일에도 1만건 넘는 신규 설치를 이어가며 메신저 분야 1위를 유지했다.

이는 국내에서 한동안 주춤했던 텔레그램 이용 추세와 대조를 보인다. 지난달의 경우 메신저 업종 신규 설치 1위는 네이버 라인으로, 텔레그램은 4위에 그쳤다. 지난 10월과 9월에도 라인이 신규 설치 1위 자리를 지켰으며, 텔레그램은 3위로 카카오톡의 뒤를 이었다.

실제 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네이버와 카카오의 포털 다음에 모두 트래픽이 몰려 접속 불안 현상을 빚으며 사회관계망(SNS) 상에서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텔레그램을 새로 설치했다는 메시지가 다수 올라왔다.


계엄령이 선포로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서 국내 메신저가 검열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텔레그램이 주목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계엄 선포 직후 앱스토어 등 인기 차트에서 50위권이던 텔레그램 인기가 3위까지 치솟기도 했다.

텔레그램은 종단 간 암호화 기술 기반의 메신저다. 이용자의 메시지가 암호화돼 서버를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메신저로 평가받는다. 다른 국내 메신저와 달리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관가 핵심에서 애용하는 메신저로 입소문을 타 왔다.

지난 7일에는 계엄 핵심 당사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검찰 자진 출두를 앞두고 텔레그램을 탈퇴한 뒤 새로 가입한 정황이 드러나, 기존 대화 내용을 삭제하고 증거 인멸을 시도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