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휴정 시간에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을 별도로 만났다. 물밑 설득 작업을 위해서였다. 곽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1공수특전여단 277명, 707특수임무단 197명 등의 국회 출동 작전을 지휘했다. 곽 사령관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윤 대통령의 지시 내용에 대해 입을 닫았다. 하지만 박 의원의 설득 직후 오후 회의에 참여한 곽 사령관은 “대통령이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털어놨다.
4성 장군(육군 대장) 출신의 김병주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일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를 직접 찾아가 이진우 수방사령관을 만났다. 김 의원은 육군사관학교 8기수 후배인 이 사령관에게 “솔직히 말하고 용서를 구하라”고 설득해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시켰다. 이 사령관도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한 차례 전화가 왔었다. 상황이 어떤지 물어봤었다”고 실토했다.
민주당은 11일 ‘12·3 계엄사태 제보센터’도 개설했다. 군에서 나오는 익명의 제보를 적극 활용하자는 취지다. 이날 부승찬 의원은 중앙일보에 “방첩사가 비상계엄 당일 수도방위사령부 B1벙커 뿐 아니라 수방사 군사경찰단의 구금 시설인 미결수용실도 점검했다. 체포 예정이었던 14명의 정치인을 구류시킬 용도로 보여진다”며 “근거는 당시 군 고위 관계자의 믿을만한 제보”라고 밝혔다.
지난 9일에는 이기헌 의원이 “오물풍선에 대해 원점 타격 지시를 거부한 합참 고위직을 겨냥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합참 개념 없는 놈들’ ‘쟤 빼’ 등 폭언을 했다“며 “신뢰할만한 제보를 여러 번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민주당이 9일 경찰에 제출한 윤 대통령의 고발장(외환죄)에도 반영됐다. 이재명 대표도 같은 날 국회를 진입한 계엄군에게 “그대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 계엄군을 향한 화살은 명령을 내린 자들을 향해야 한다”며 심리전에 나섰다.
민주당 관계자는 “8년 전 최순실씨의 국정농단의 실체를 드러낸 트리거(방아쇠)도 ‘미르·K스포츠’ 재단의 내부고발이었다”며 “국회 국방위원회 의원들 중심으로 친분 있는 군 관계자들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영태 이사, 노승일 K스포츠재단 부장, 차은택 단장 등은 2016년 11월 가동된 ‘최순실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에 나와 각종 국정농단 의혹을 폭로했고, 이는 여권의 빗장을 푸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다만 당 일각에선 “검증이 안 된 제보는 조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쏟아지는 제보 중에서도 ‘자기 방어’ 차원에서 진실과 거짓을 교묘하게 짜깁기할 수 있어서다. 2016년에도 고영태 이사의 폭로 의도를 의심하면서 ‘의인’인지 ‘범법자’인지를 두고 논쟁이 이어졌다. 실제로 고 이사는 박근혜 정부 당시 관세청 인사에 개입한 혐의(특가법상 알선수재)로 2019년 대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형을 받았다.
곽 사령관의 경우도 지난 6일 “TV 뉴스를 보고 계엄 사태를 파악했다”고 주장했었는데, 언론의 반박보도 후 10일 “계엄 선포 이틀 전 국회와 선관위를 비롯한 6곳에 대한 확보 명령을 받았었다”고 번복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변명을 하며 상황을 호도하는 제보와 감춰진 진실을 밝히는 제보가 혼재해있다”며 “최대한 검증해서 걸러내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