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은 더 이상 교장, 교감 등 관리자들의 단체가 아닙니다. 변화해야 한다는 회원들의 열망으로 30대인 제가 당선됐다고 봅니다.”
11일 제40대 한국교총 회장에 당선된 강주호 경남진주동중 교사가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소회를 밝히며 한 말이다. 강 신임 회장은 1986년생으로 올해 38살이며 교총 역사상 최연소 회장이다. 5~1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선거에서 강 회장은 50.66%의 표를 얻어 상대 후보인 권택환 대구교대 교수(49.34%)를 1.33%포인트 격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전임자인 박정현 인천 부원여중 교사가 과거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였다는 이유로 사퇴하며 치러진 선거이기 때문에, 강 회장은 이날 즉시 취임해 3년의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지난 2014년 교편을 잡은 10년차 교사다. 교총에서는 2030청년위원회 교권분과위원장, 정책자문위원, 현장 대변인, 경남교총 정책실무추진단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선거에서는 ‘학교의 주체는 선생님, 선생님을 지켜야 학교가 삽니다’를 주제로 교권보호 정책 추진을 공약했다. 강 회장과의 일문일답.
30대 평교사의 당선이 가지는 의미는.
교총도 젊고 유능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열망이 표출된 것이라고 본다. 교총 회원의 절반 가량이 5·60대다보니, 선거에서도 ‘나이가 어려서 리더십이 우려된다’는 공격을 받았다. 하지만 전국 유·초·중·고교 교원 평균 연령이 41.8세다. 딱 내 나이대의 현장 교원들과 소통하는 데 강점이 있을 거라고 본다.
어떻게 선거에 출마하게 됐나.
현장에서 아동학대, 학교폭력 현안을 다수 처리하면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많이 느꼈다. 내 문제이자, 현직 교사인 내 아내의 문제이자, 직장 동료와 선후배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해당사자로서, 절실한 마음으로 출마했다.
가장 먼저 시행하고 싶은 1호 공약은.
‘교원보호 119’ 제도를 안착시키고 싶다. 내용은 교사들이 악성민원이나 부당한 아동학대로 신고를 당했을 때 교원을 지원하는 팀을 만드는 것이다. 팀원들은 현직 교원으로 꾸릴 생각이다. 이를 위해 다른 교원노조처럼 현직 교사를 전임자를 파견할 법적 근거를 만들겠다.
교사들이 반대하는 AI디지털교과서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인가.
도입 반대는 아니지만 속도 조절은 필요하다. 현장에서 효과 검증하면서 확대해야 한다고 본다.
최근 교총의 신규 회원(교사) 유입도 줄고 있다.
그간 교총의 철학이 잘못되진 않았다고 본다. 다만 현장에서는 교총의 주장이 탁상공론이라고 받아들이는 것 같다. 이런 의견을 불식시키기 위해 내가 최대한 직접 현장에 가서 도움을 주고 목소리를 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