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박단 뭐했나" "교수는 뭐했나"…회장 선거 앞둔 의료계 카톡 설전

강희경 서울의대 교수(왼쪽),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뉴스1

강희경 서울의대 교수(왼쪽),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뉴스1

 
최근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비판을 주고받은 전공의 대표와 서울의대 교수 대표가 의사들이 모인 단체 대화방에서 직접 설전을 벌인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이 방에 속한 다른 사직 전공의들도 서로 날선 말을 주고받는 등 10개월째 장기화되는 의정갈등 국면에서 의료계의 투쟁 방식을 두고 내부 분란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강희경 전 서울대의대·병원 교수 비대위원장(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등은 지난 8일 의료계 인사 80여명이 모인 단체 카카오톡방에서 설전을 주고받았다. 

이들의 갈등은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선거에 출마한 강 교수가 의사 등 500여명이 모인 다른 단체 카톡방(단톡방)에서 지난 7일 “박단이 무슨 활동을 했는지요? 정책을 제안했나요? 전공의들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국민을 설득했나요?”라고 의문을 표한 게 언론에 보도되면서 시작됐다. 이에 박 위원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 10년 동안 대한민국 의료가 엉망진창이 될 때까지 서울의대 교수들은 무엇을 했습니까”라며 “강희경 당신은 교수로서 무엇을 했습니까. 권력에 맞서 본 적은 있습니까”라고 강 교수를 직격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교수들이 행동해야 합니다. 선택지는 많습니다”라며 진료지원인력(PA)에 대한 의료행위 지시 거부, 대리처방 중단 등을 언급했다. 의료현장에서 공공연히 이뤄지는 이런 행위들만 중단해도 의사들의 주장이 더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데, 행동하지 않는 교수들이 아쉽다는 취지다.

지난 8일 밤, 강 교수가 이런 박 위원장의 페이스북 글을 캡처해 두 사람이 모두 속한 단톡방에서 올리면서 본격 설전이 시작됐다. 이 단톡방은 의협 의료정책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의료정책최고위 과정 33기 수강생들이 모여있는 방으로, 교수와 전공의 등 의사 80여명이 속해있다.

강 교수가 올린 캡처를 보고 사직 전공의인 임진수 의협 기획이사는 “의료계가 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내부 분열만 조장하는 박단 선생은 대전협 비대위원장 자리에서 뭘 했느냐”며 “정신 차리십시오, 박단 선생. 당신이 이렇게 글을 쓰는 짓거리 때문에 의료계의 세대갈등이 조장되고 사태 해결이 요원해진다”고 비판했다. 그간 전공의들의 ‘단일대오’ 투쟁에 구심점 역할을 해온 박 위원장을 공개 비판하는 의료계 목소리가 전무했는데, 강 교수의 의문 제기에 이어 정면 비판이 나온 것이다.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젊은 의사 의료계엄 규탄 집회'에서 사직 전공의를 비롯한 젊은 의사들이 계엄 규탄 및 의료개혁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젊은 의사 의료계엄 규탄 집회'에서 사직 전공의를 비롯한 젊은 의사들이 계엄 규탄 및 의료개혁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자 박 위원장은 “강희경 교수의 (제 페이스북 글) 공유와 임진수 선생님의 비호. 재미있는 조합이군요”라며 비꼬는 듯한 말로 응수했다. 임 이사는 재차 “대전협 비대위원장으로서 사태 해결을 위해 교수 욕, 내부 분열 조장 외에 또 뭐하셨는지?”라고 물었으나, 박 위원장은 “강희경, 임진수 두 분 건승하길 바란다”는 말로 대답을 대신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달 탄핵당한 임현택 의협 회장과 줄곧 각을 세워왔는데, 강 교수의 남편과 임진수 이사가 임현택 전 회장 집행부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반감을 갖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이 단톡방에서는 “임현택 집행부에서 저를 비난했던 분 중 한 분이 (강희경) 교수님 남편”(박단) - “연좌제 금지가 헌법에 처음 규정된 것은 1980년이라고 하더군요^^”(강희경) - “그만하시죠. 더 할까요.”(박단) 등 가족까지 거론하는 입씨름이 이어졌다. 다른 단톡방 인원들이 갈등을 만류하며 진화되는 듯했지만, 박 위원장은 재차 강 교수를 향해 “제 글에 대해 서울의대 교수님들의 입장은 있었으면 합니다. 최소 PA에 대해서라도. (의사) 아이디 (간호사와) 공유나 대리처방은 그만하셔야죠”라고 압박했다.  

강 교수는 “저는 진료시 대리처방하지 않습니다만”라고 답했으나, 이 방에 있던 김은식 세브란스병원 전공의 대표는 “다른 서울의대 교수들 중에는 아이디 공유나 대리 처방하는 분들이 있다는 거군요”라며 강 교수를 향한 공격에 가세했다. 박 위원장이 이끄는 대전협 비대위 일원인 김 대표는 “한때 서울의대 교수 단체의 장이었던 분이 자기만 빠져나가려는 모습이 참 보기 좋습니다. 앞으로 어떤 단체의 장을 맡으시든 그려질 모습은 뻔해 보입니다”라는 비아냥도 덧붙였다. 강 교수가 “제가 (대리처방을) 하고 있지 않아서 상황을 모른다는 이야기일 뿐이다. 확대 해석은 사양한다”고 답하면서 한밤 설전은 끝났다.

지난 2월 시작된 의정갈등이 해를 넘기게 된 가운데, 향후 의료계 투쟁을 주도할 의협 차기 회장 선출(내년 1월)을 앞두고 의료계 내분도 커지는 모습이다. 집단사직한 전공의들을 대표하는 대전협은 사태 초반부터 ‘2025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주장, 최근까지도 ‘모집 중단’을 주장하면서 그 외 다른 타협안은 거부하고 있다. 동시에 대통령실, 소비자 단체 등과 대화하며 의료계 입장을 설득하려는 강 교수를 비롯한 대화파에 강한 거부감을 표하고 있다.

반면, 강 교수는 “10개월간 단일대오 투쟁만 주장하며 우리가 얻은 게 무엇인가. 더 이상 의사들 내부의 힘만으로는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국민과 연대를 강조하는 메시지로 의협 회장 선거운동을 펴고 있다. 전공의들 사이에서도 “대안 제시 없이 ‘증원 백지화’만 외쳐서는 해결이 어려울 것 같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여전히 다수는 미복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