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과 11일 양일에 걸쳐 중앙일보가 인터뷰한 10명의 서울청 기동단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계엄 당일 출동은 전혀 예상치 못했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청 7기동단 소속의 A 경사는 “휴대폰으로 기사를 보고 뒤늦게 사태를 파악했다”며 “처음엔 가짜 뉴스인 줄 알았다. 국회에 군 헬기가 다니는 걸 보고서야 진짜라는 게 실감이 났다”고 말했다. 당시 용산으로 파견된 서울청 기동단 소속 B 총경도 “출근날이 아니어서 자다가 우리 팀 직원 전화를 받고 비상계엄이 선포된 걸 알게 됐다”며 “왠지 부를 것 같다 싶었는데 얼마 안 있어 서울청 경비계장 전화를 받고 출근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경찰에 대한 ‘내란 동조자’란 시민들의 비판도 부담이다. 기동대 소속 E 순경은 “당시 경찰 모자를 뺏고 흔들면서 조롱하는 시민들이 있었는데 딱히 대응할 수도 없다 보니 자괴감이 들었다”며 “전반적으로 근무 피로감과 함께 사기가 떨어져 우울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서울청 경비단 소속 F 총경도 “애초에 안전 관리라는 지시만 받고 긴급히 출동했는데 어느 순간 국회의원들, 시민들과 대치하는 상황이 됐다”며 “의원들을 내부로 들여보내고 싶어도 이미 안쪽에 먼저 온 부대들이 차벽을 치고 있는 데다가 상부 지시사항이 있으니 마음대로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F 총경은 “이후에 국회의원들과 대치한 상황만 두고 온·오프라인에서 경찰을 향해 ‘내란 동조자’라는 비난이 이어지는 것을 보며 속상한 마음”이라며 “우리도 일반 시민들과 같은 마음”이라고 토로했다.
12·3 사태 당시 비상근무 이후 계속되는 출근으로 피로가 누적되는 것도 불만 사항이다. 서울청 7기동단의 G 경사는 “계엄 날 원래 근무로 8시에 끝나서 퇴근하고 집에 있었는데 전 직원 출동 명령이 내려졌다”며 “새벽 4시까지 일하고 부대에서 2시간 자고 7시에 또 광화문 일대와 대한문, 서울역, 용산, 숙대 인근 등을 돌며 밤 10시까지 계속 근무한 뒤 그다음 날도 새벽 출근을 했다”고 말했다. 서울청은 기동대원들에게 “현재 집회상황이 좋지 않아 대체휴무 지정이 어렵지만, 최대한 지정하겠다”는 공지를 내린 상태지만 일선 기동대원들은 대부분 “믿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앞서 12·12 군사반란 및 5·18 내란 사건 수사를 맡은 검찰은 광주에 투입된 신군부 발포 지시를 따른 여단장 등 일선 지휘관과 병사 등 단순 가담자에 대해선 “국헌문란의 목적이 없어 내란죄의 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며 전원 무혐의 불기소 처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