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전 대통령과 배우 조지 클루니. AP=연합뉴스
책에 따르면 바이든은 2023~2024년 신체적으로 크게 쇠약해졌다. 특히 척추가 심각하게 퇴화하면서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졌다. 이와 관련, 당시 대통령 주치의는 바이든의 나이를 고려할 때 "또 한 번 심각한 낙상이 발생하면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가 필요할 수 있다"라고 사적으로 조언했다. 이에 바이든이 휠체어를 사용할지를 내부적으로 논의했지만 결국 하지 않았다고 책은 전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4년 재임 가운데 마지막 2년에 대해 알고 있는 200명 이상의 인사들과 인터뷰를 토대로 쓴 책『오리지널 신'(Original Sin·원죄)』아마존
이번 책에서 저자들은 바이든의 건강과 인지력 문제를 참모들이 일찌감치 인지했을 개연성이 컸음에도 대선을 4개월여 앞둔 지난해 6월 말 대선후보 TV토론에서 전 국민에게 문제를 드러내기까지 쉬쉬했던 정황을 파헤쳤다.
책은 바이든과 그의 가족, 백악관 관료들이 바이든 전 대통령의 신체·정신적인 쇠퇴 징후를 목격했지만 재선 운동을 계속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악시오스에 "의료 검진에서 척추 마모로 인해 걸음걸이가 경직된 것은 확인됐으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라면서 "그(바이든)는 이 문제를 투명하게 공개했고 이는 절대 심각하지 않았다"라고 반박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3년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의 미 공군사관학교 졸업식장에서 넘어져 부축을 받고 있다. AP=뉴시스
앞서 바이든은 현직이던 지난 2023년 공군사관학교 졸업식 행사에 참석했다가 연설 무대 바닥에 있는 모래주머니에 발이 걸리면서 넘어졌다. 2021년에는 대통령 전용기를 타기 위해 계단을 오르다가 넘어졌다.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재선 도전에 나서면서 '낙상 사고'를 막기 위해 최단 이동 경로를 찾고 계단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예방 조처를 했다.

전용기 오르다 발 헛디뎌 넘어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유튜브 화면 캡처
전 참모 "바이든 사랑하지만, 재출마는 해가 됐다"
또 바이든이 재선 도전을 포기하기 전인 지난해 6월 중순 LA에서 열린 후원금 모금 행사에서 15년간 알고 지내온 배우 조지 클루니를 알아보지 못했다고 저자들은 짚었다. 조지 클루니는 오랜 민주당 지지자다.
행사에 앞서 클루니가 바이든에게 먼저 인사했는데, 보좌진이 "대통령님, 조지 아시죠?"라고 하자 바이든은 "그래요, 그래요. 와줘서 고마워요"라고 했는데 이 때 바이든은 클루니를 알아보지 못한 게 분명했다고 저자들은 주장했다. 바이든은 2022년 12월 백악관에서 열린 케네디센터 메달 수여 행사에서 클루니와 만나 악수했다. 그 뒤 1년 반 만에 재회한 그를 알아보지 못했다는 게 저자들 주장이다.
클루니는 모금 행사 다음 달인 지난해 7월 뉴욕타임스(NYT)에 바이든이 재선을 포기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기고를 했다. 이 기고가 바이든이 대선 후보직을 포기하고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을 새 후보로 지지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줬다고 전해진다.

영화배우 조지 클루니가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열린 제81회 베니스 영화제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가디언에 따르면 저자들은 카멀라 해리스의 전 수석 선거 캠프 보좌관이었던 데이비드 플루프를 인터뷰했다. 플루프는 책에서 "바이든이 도널드 트럼프와의 참담한 토론으로 고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후에도 3주 넘게 버텨서 우리를 망쳤다"면서 "트럼프에 맞섰던 해리스 캠프의 '107일 질주'는 악몽 같았다"고 회고했다. 플루프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8년 대선에서 승리할 당시 선거 캠프 매니저를 지냈다.
바이든의 재출마에 반발해 백악관을 그만뒀던 한 고위 보과관은 저자들에게 "저는 조 바이든을 사랑하고 정계에서 그와 같은 사람은 거의 없다"면서도 "그런데도, 그의 가족과 참모들이 재출마를 강행한 건 나라와 정당에 해가 되는 일이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