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부산진구 채용박람회. 기사 본문 내용과 관련 없음. 송봉근 기자
4일 부산광역시 인권센터는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14일까지 부산대와 부경대 도서관에서 학생·시민 102명을 대상으로 ‘구직과정에서의 차별 행위 및 인격권 침해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은 답변이 있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10명 중 1명은 외모에 관한 평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는 특히 카페·음식점 등 업종에서 많이 발견됐고, 학원 교사 지원자에게도 외모 평가 사례가 있었다.
해당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는 모두 여성으로, 남성 응답자들은 경험 사례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않은 용모·키·체중 등 신체적 조건, 미혼 여부 등을 확인해서는 안 된다고 인권센터 측은 전했다.
응답자 8%는 지나치게 과도한 사적 정보를 요구하는 사례를 겪었다고 답했다.
정치 성향을 질문하거나 지도교수, 남자친구, 연애와 성관계, 종교활동, 부모님의 직업까지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채용 서류를 내고 면접을 봤지만, 결과를 알려주지 않은 사례도 5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미채용자가 제출한 서류를 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사례도 2건 확인됐다.
응답자 가운데 20%는 나이 제한을 경험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영화관, 카페, 판촉 업무 등에서 나이 제한 관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채용시험 중 화장실 출입을 못 하게 하거나 면접장에서 인격 모독을 당하고 업무와 무관하게 특정 종교 신도가 될 것을 요구받았다는 사례도 나왔다.
인권센터 측은 “구직자들은 지역 차별, 외모와 신체적 요소 배제, 성별과 나이에 의한 차별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며 “채용 담당자의 갑질 근절, 상호존중, 나이가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기 등 인격적 대우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