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진 기자
큐텐 사태 여파로 해피머니 상품권 정산이 지연되면서 학교와 학생들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학교에서 해피머니 상품권을 교내 대회 후 시상 등의 용도로 구매해 학생들에게 지급했기 때문이다.
“공부 잘하면 해피머니 준다”…학교에 뿌려진 상품권

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티몬·위메프 정산·환불 지연 사태로 사실상 사용이 정지된 해피머니 상품권 피해자들이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우산 시위를 준비하고 있다. 뉴스1
실제로 학교장터 홈페이지에 올라온 해피머니 상품권 3% 할인 판매 공지 글에는 “빠른 배송 감사하다”는 댓글이 2019년부터 지난달 17일까지 360개 이상 달렸다. 학교장터는 학교, 유치원 등 교육기관과 교육 유관기관 관계자가 이용하는 웹사이트다.
학교뿐 아니라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대회에서도 학생 대상으로 해피머니 상품권이 다수 배포됐다. 경북교육청이 지난 5월에 개최한 웹툰 공모전에서 입상한 학생들은 상장과 함께 부상으로 해피머니 상품권을 받았다. 충남 예산군도 같은 달에 걷기 챌린지 대회를 열고 최다 걸음 수를 기록한 청소년에게 최대 2만 원 상당의 해피머니 상품권을 지급했다.
이 때문에 온라인에는 상품권을 받고 아직 쓰지 못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환불 문의가 잇따랐다. 큐텐 사태가 수면으로 떠오른 지난달 말부터 다수의 맘카페에는 “아이가 학교에서 상금으로 받아온 해피머니 상품권은 어디서 환불받을 수 있냐”는 내용의 글이 연이어 올라왔다.
“교육 당국이 일괄 원칙 내려줘야”

헌혈 마스코트 '나눔이'가 인쇄된 해피머니 상품권과 없는 상품권. 나눔이 마스코트가 인쇄된 상품권은 2020년부터 특별 제작, 지급됐다. 한 네티즌은 지난 27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헌혈하고 받은 상품권 6장 중 마스코트가 그려진 상품권 4장을 다른 기념품으로 바꿨다″고 글을 올렸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상품권의 대안을 마련하는 것도 골칫거리다. 교내 대회 시상품으로 문화상품권 등을 꾸준히 대량 구매해 온 울산의 한 중학교 교장은 “학생들에게 돈으로 보상하는 게 교육적으로 바람직하진 않지만, 시상으로 주는 금액 2~3만원에 맞춰서 학생들의 마음에 드는 상품을 사기가 마땅치 않다”고 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학교에서 교육 목적으로 지급한 상품권인 만큼 교육 당국이 일괄적인 원칙 내려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