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청사에서 한 유가족이 슬픔에 잠겨 있다. 김경록 기자
30일 오전 무안 제주항공 참사 사망자 179명 중 141명(오전 8시 35분 기준)의 신원 확인은 완료됐지만, 유족 대부분은 시신을 찾지 못한 채 허공을 바라보며 기다리고 있었다. 임신 2주차 축하여행을 갔다가 변을 당한 고모(42)씨의 유족도 허망한 표정으로 공항 2층 대기석에 앉아있었다.
“임신 2주차, 축하 겸 친구 5명과 우정 여행”
고씨가 방콕 여행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오기 직전 보낸 메시지가 마지막 대화가 됐다. 비행기에서 볼 영화를 보내달라고 부탁했다. 동생은 “토요일 저녁쯤 귀국하는 길에 영화를 보고 싶다고 해서 여러 개를 보내주며 선택하라고 했다”며 침통한 표정을 지었다. 고씨의 남편도 “여행 가기 전 잘 갔다 오라고 한 게 마지막으로 나눈 말이었다”며 고개를 떨궜다.

무안 제주항공 참사로 사망한 정모(41)씨와 그의 시어머니 문모(68)씨가 나눈 문자 메시지. 문씨는 “집으로 놀러 오라는 메시지를 항상 보낼 정도로 딸 같은 며느리였다“고 말했다. 이아미 기자
유가족은 12시간 가까이 시신 확인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 대해서도 분통을 터뜨렸다. 고씨 친언니는 “어제(29일) 밤 11시쯤에 신원 확인이 됐는데 새벽 4시에도 ‘양해를 부탁드린다’고만 하고 지금까지 아무것도 이뤄진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는 유가족 세 명까지 시신 확인을 해준다고 했다가 오늘은 한 명만 확인 가능하다고 한다. (유가족) 누구는 보고 누구는 안 보는 게 말이 되냐”고 토로했다.
언론인 부부도 참변…유족 시신 확인 안 돼 발만 동동

30일 오전 전남 무안공항에서 희생자 유가족들이 시신을 확인하기 위해 격납고로 향하는 버스를 타고 있다. 장서윤 기자
김씨는 “우리는 가족 카카오톡 방에서 자주 연락하는데 (사고 당일) 새벽 3시에 방콕 공항에서 사진도 찍어 보냈다”며 “이후 비행기가 연착돼 30∼40분 뒤면 출발할 것 같다고 했는데 도착할 때가 됐는데도 연락이 없었다”고 말했다.
김씨 유족도 시신 확인을 기다리라는 말만 들은 채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다. 아버지 김씨는 “현장 가서 얼굴 확인하고 온 유족은 80명 정도인데 우리는 아직 대기 번호가 132번이다. 어제도 확인하는 줄 알고 버스를 탔는데 차에서 40분이나 기다렸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1시 기준 사망자 38명의 신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희생자 신원 확인 뒤 검안·검시 절차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족들은 검안의 등 인력을 더 충원해달라고 요구했다. 유가족 협의회 대표는 모든 시신의 신원이 확인될 때까지 장례 절차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