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이 지난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공화당 강경파들의 반대로 임시예산안 처리가 불발되면서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의사당에서 공화당 의원들과 회동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는 앞서 존슨 의장의 주도로 민주당과 합의한 임시예산안에 정부의 '부채 한도 증액'과 관련한 조항이 포함돼야 한다며 존슨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난해왔다. 결국 해당 예산안 처리가 무산되고 새로운 예산안이 겨우 통과됐지만, 새 예산안에도 트럼프가 요구했던 내용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존슨 의장은 강경파들의 집중 포화를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4일 미국 메릴랜드주 랜도버에서 열린 미 육군-해군 미식축구 경기에서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오른쪽)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1월에도 케빈 매카시 전 의장이 강경파들의 집단 반발로 15차례 투표 끝에 겨우 선출됐다. 그리고도 강경파들은 9개월만에 매카시 전 의장의 해임을 주도했고, 22일간의 의장 공석 사태를 거쳐 존슨 의장을 후임자로 선출했다.
트럼프의 존슨 의장 지지와 관련, 스테판 슈미츠 아이오와 주립대 명예교수는 중앙일보에 “공화당은 현재 상당히 분열돼 있고 트럼프의 개별 정책마다 찬반이 갈려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 출범을 앞둔 트럼프의 입장에선 하원의장의 공백 상황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을 피하려고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트럼프는 이날 존슨 의장에 대한 지지를 밝힌 글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이 위대한 기회를 날려버려서는 안 된다”며 “미국 국민은 지난 행정부의 모든 파괴적 정책으로부터 즉각적으로 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만약 미 의회에서 하원의장 공백 사태가 발생할 경우 오는 6일로 예정된 상·하원 합동위의 대선 결과 인증에 여파를 주는 것은 물론, 취임을 앞둔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 초기 동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17일 미 의회 의사당에서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의원총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던 중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AP=연합뉴스
반면 토마스 매시(켄터키) 하원의원은 자신의 SNS에 “나는 트럼프 대통령을 존경하고 지지하지만, 존슨 의장이 민주당과 협력해 우크라이나에 돈을 보내고 미국인에 대한 감시를 허가하며 예산을 낭비하는 것을 봤다”며 존슨 의원에 대한 거부 의사를 굽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