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국토부 “로컬라이저 최초부터 콘크리트 둔덕…이후 30㎝ 보강”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국토교통부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와 관련해 “처음부터 콘크리트 둔덕 형태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항공 안전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브리핑에서 “(로컬라이저는) 최초 설계 때도 둔덕 형태 콘크리트 지지대가 들어가 있는 형태”라며 “그 뒤 개량사업 진행하며 분리된 말뚝 형태에 두께 30㎝ 콘크리트 상반을 (추가로) 설치해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콘크리트 재료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선 “지지대를 설치할 때 비바람에 흔들리면 안 되니 고정하기 위해서였다”며 “(종단) 안전 구역 밖에 있으니 재료에 제한받지 않는다고 판단해 콘크리트 지지대를 받친 것”이라고 했다.

국토부는 또 엔진 고장이 랜딩기어 문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과 달리 엔진이 모두 고장 날 경우 유압 계통을 통해 랜딩기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2개 엔진이 모두 엔진 고장이 나면 유압 계통에 이상 생길 수 있어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다만 모든 게 다 고장 났을 때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했다.


국토부는 외형이 일부 손상된 채 수거된 비행자료기록장치(FDR)는 “추가적 기술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와 관련해선 “자료 추출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