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31일 삼성전자는 코스닥 상장사인 로봇개발 업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기존 14.7%에서 35%로 늘려 최대주주가 됐다고 공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의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이 회사에 868억원을 투자해 2대주주가 됐다. 삼성전자는 당시 확보한 콜옵션(주식 우선 매수권)을 이번에 행사해 2년간 총 3545억원을 레인보우로보틱스에 투자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향후 삼성전자 자회사로 편입된다.
미래로봇추진단 신설...최고경영진 나섰다

오준호 카이스트 명예교수와 그가 개발했던 인간형 로봇 휴보2. 사진 카이스트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앞서 삼성전자는 디바이스경험(DX)부문 경영지원실 기획팀을 중심으로 극비에 로봇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던 것으로 알려진다. 특히 이 과정에서 단순 웨어러블(착용형) 로봇을 넘어 두 발로 걷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시장성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일보 2023년 8월 3일자 15면〉 당시 재계 관계자는 “이재용 회장이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을 언급하는 등 구체적인 전략 검토 지시가 내려온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휴머노이드 상용화 원년

지난 6월 대만 타이베이 대만국립대 체육관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아시아 최대 IT 박람회 ‘컴퓨텍스 2024’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젠슨 황은 “미래에는 나와 체격이 비슷한 걸어 다니는 컴퓨터를 만들게 될 것”이라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직접 소개했다. 타이베이(대만)=이희권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도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개발을 상당부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 말부터 수천 대 이상의 옵티머스 로봇이 테슬라 공장에서 시범 생산될 예정이다. 대당 3만 달러(약 4400만원) 안팎으로 출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머스크는 공개석상에서 “로봇을 생산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전기차를 파는 것”이라 말할 만큼 AI와 로보틱스 결합에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차준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