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냔해 7월 일본 도쿄도지사 선거 당시 선거 벽보판. 선거와 무관한 독도 영유권 주장이 담긴 포스터가 대거 게시돼 있다. 중앙포토
특히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지 못하게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눈길을 끈 것은 “품위를 해치는 내용을 기재해선 안 된다”는 ‘품위 규정’이다. 일본에선 선거 포스터에 대한 규제가 없다 보니 선거와 전혀 무관한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영업 내용을 담은 포스터가 게시되는 경우까지 있는데, 이를 막겠다는 취지다. 100만엔(약 96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처벌 규정도 넣었다. 도쿄도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선거에 혼란이 이어질 경우, 선거 자체에 대한 유권자 기피감이 생기고, 공정·공평한 선거가 훼손된다”며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쿄도지사 선거를 앞둔 지난해 6월 한 도쿄 시민이 특정 포스터로 도배된 선거 벽보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
여·야 의원들이 올여름 선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서두르고 있지만, 일각에선 ‘품위 규정’ 해석이 애매하다는 등 우려도 나온다. 구체적인 품위 규정 위반 사례를 명시하지 않고선 판단이 어렵다는 얘기다. 가마다 사유리(鎌田さゆり) 입헌민주당 의원은 마이니치신문에 “해석 (범위가) 매우 넓다. 품위가 있다, 부족하다는 판단을 누가 할 것인가. 매우 어려운 애매한 표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