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43)이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특임교수로 임용된 그는 11일 첫 학기 수업을 진행했다. 사진 독자
인공지능(AI)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전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43)이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특임교수로 임용된 그는 11일 첫 학기 수업을 하면서 AI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이 교수는 지난해 9월 유니스트와 처음 인연을 맺었다. 당시 학교 초청으로 알파고와 대국 등 자신의 경험을 전하는 특강을 하면서다. 특강 후 학교 측의 특임(특별임용) 교수직 제안을 받았다는 그는 "AI와의 대국 등 경험을 더 나누고 싶었고,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11일 이세돌 교수가 기자들과 만나 강단에 서게 된 배경과 포부, 소회를 밝히고 있다.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20여명의 학생이 참여하는 수업은 단순히 게임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전략적 사고와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향한다. 그는 "학생들이 보드게임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력, 팀워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실제 게임으로 구현해보는 실용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수업은 실습 중심이다. 6시간 수업 중 2시간은 바둑 강의, 나머지 시간은 학생들이 조를 이뤄 규칙·승패 등이 있는 '부루마불' 게임과 같은 실제 보드게임을 제작한다. 이 교수는 이때 바둑의 전략적 요소 등을 학생들에게 조언한다. AI 알고리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게임 규칙에 적용하라는 추천도 한다. 그는 2019년 프로 바둑기사 은퇴 후 현재 보드게임 제작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 교수는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수를 계산해내는 데 능하지만, 인간은 직관과 감정을 바탕으로 예상치 못한 수를 둘 수 있다. 연산력과 분석력은 AI의 강점이지만, (보드게임 제작 같은) 창의성은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AI)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43)이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특임교수로 임용된 그는 11일 첫 학기 수업을 진행하며 기자들과 만나 강단에 서게 된 배경, 향후 계획, AI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사진 독자
그는 AI를 이제 협력의 파트너로 바라봐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AI에게 바둑에서 지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AI는 바둑을 '창조'하진 못한다. 인간과 AI가 함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시대가 왔다. 이 속에서 인간의 역할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AI와 바둑을 두는 건 마치 사람이 스포츠카와 경주를 하는 기분"이라며 "그 차이를 극복할 순 없지만, 중요한 건 어떻게 공존하고 협력하느냐"라고 덧붙였다.
박종래 유니스트 총장은 "이 교수의 독창적인 경험이 캠퍼스 전반에 혁신을 향한 도전 정신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AI와 바둑의 융합 연구가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를 한층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유니스트 임기는 2028년 2월까지다.
한편 유니스트는 이날 "전공과 상관 없이 모든 학생이 AI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AI 캠퍼스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