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지소미아로 정보교류 지속…정상화 기대"

국방부가 22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통보 효력 정지 결정이 한반도 및 역내 정세 안정과 안보 협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측이 호응해 빠른 시일 내에 지소미아가 완전히 정상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뉴시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며 그동안 국방부는 미국 국방장관 등 주요 인사와 접촉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소미아 종료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고 일본 측의 태도 변화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방부는 미국 측 인사에게)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일본이 안보상 이유로 부당한 수출 규제를 한데 따른 것이며 많은 고뇌 끝에 내린 피할 수 없는 결정이라고 밝혔다”며 “일본이 제재 해제 등 관계 개선 노력을 할 경우 종료를 재검토 할 수 있다는 우리 정부 입장을 적극적으로 설명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런 가운데 효력 정지 결정을 내린 건 일본의 호응이 있었기 때문이며 미국 측의 영향도 있었음을 시사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의 직접적 원인은 일본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태도를 취하는 등 호응을 해왔기 때문에 서로가 조건하에서 방안을 찾은 것”이라며 “미국도 한·미·일 협의를 했을 때 중립적 입장에서 한·일에 전향적 자세를 요구했다. 그런 측면에서 (미국이) 기여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일본에도 한·일 장관회담 등 일 국방 당국 및 관계자 회담과 접촉 때 안보를 강조하면서 지소미아 유지 위한 일본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요청했다”며 “지소미아 결정 과정에 국방부는 충분히 의견을 개진했고 이번 결정에 대해서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일 국방 교류 협력은 지소미아 문제와 별개로 이어나간다는 방침도 재차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일 국방) 교류 협력 자체는 이와 무관하게 잘해보자는 입장이었다”며 “한일 국방장관이 만났을 때도 양국 간 국방교류는 잘해보자 하고, 국내뿐 아니라 해외 훈련을 포함해서 잘해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