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12일 이 회사가 공사 중인 현장.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14/e2896daa-a5af-4ba7-8ec8-03f442e9f35e.jpg)
현대산업개발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12일 이 회사가 공사 중인 현장. [연합뉴스]
전국에 있는 현대산업개발의 65개 공사 현장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에 따르면 현재 시공 중인 광주 시내 현장은 화정 아이파크와 지난해 6월 철거 중 붕괴 사고가 발생한 학동4 재개발 사업구역, 동구 광주계림 아이파크SK뷰 아파트, 광주 운암3단지 등 총 4곳이다.
이 중 계림 아이파크SK뷰 아파트는 현대산업개발과 SK에코플랜트가 공동 시공하는데 공사 마무리 단계로 오는 7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사고가 난 학동4구역은 이미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운암3단지는 현대산업개발과 GS건, 한화건설 3사가 수주한 재건축 사업지로 총 3214가구의 대단지다. 현재 기존 주택의 철거만 완료된 상태다.
사고가 난 화정 아이파크는 예정된 11월 말 입주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일부 입주자들은 공사가 진행 중인 전체 단지 철거 후 재시공을 원하고 있다. 소송을 감수해서라도 계약을 취소하겠다는 입주자도 많다. 이 경우 현대산업개발은 입주 지연 보상금에, 철거, 신축 비용까지 수백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꾸려 진행 중인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 조합에서는 아파트명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에서 ‘아이파크’를 빼자는 주장도 나왔다. ‘NO 아이파크’ 움직임이 수도권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더 큰 문제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시장에서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했다는 점이다. 당분간 추가 수주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는 전체 사업에서 주택 부문 비중이 절반 이상인 현대산업개발엔 기업 존폐와도 직결된다. 한편 이날 HDC현대산업개발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1.2% 내린 2만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0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주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