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할래요" 미혼남녀 돌변…출생아 수 줄었는데, 무슨 일

2020년 부산에서 열린 제46회 대한민국웨딩산업박람회'에서 업체 관계자들이 웨딩드레스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20년 부산에서 열린 제46회 대한민국웨딩산업박람회'에서 업체 관계자들이 웨딩드레스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최근 3년 새 출생아 숫자는 줄었지만, “결혼할 생각이 있다”는 미혼 남녀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개한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5명으로, 3년 전(1.03명)보다 0.18명 감소했다. 이번 조사에서 사실혼 등 결혼 경험이 있는 19∼49세 여성이 결혼 당시 계획한 평균 자녀 수는 1.75명으로 나타났다. 2021년 조사 당시 1.93명보다 줄어들었다. 19∼49세 성인 1만4372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계획한 자녀 수는 2명이라고 응답한 이들이 63.6%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명(22.3%), 3명(6.7%), 0명(6.1%), 4명 이상(1.2%) 순이었다. 특히 배우자가 있는 이들은 18.0%만 출산 계획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이 계획한 자녀 수의 평균은 1.25명이었다. 반면 배우자가 없는 이들은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이 63.2%에 달했다. 계획한 자녀 수는 1.54명으로 조사됐다.

3년 전에 비해 출생아 수는 줄었지만, 결혼 의향을 가진 이들의 비율은 늘었다.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미혼 남녀는 62.2%였다. 직전 조사인 2021년(50.8%)보다 11.4%포인트 늘었다. 결혼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은 2021년 23.9%에서 지난해 19.4%로 4.5%포인트 줄었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결혼 생각이 없다는 비율도 같은 기간 11.9%에서 6.7%로 줄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혼인율은 출산율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향후 출산율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진은 “코로나19 때문에 결혼 의향이 바닥을 찍은 후 이전 상태로 복귀한 결과인지, 결혼 의향이 증가 추세로 전환된 것인지 추후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결혼 생각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현재 삶에 만족하기 때문’(58.4%)이라는 답을 가장 많이 택했다. 이어 ‘돈이 없어서’(11.4%), ‘적합한 배우자를 만나지 못해서’(10.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현재 삶에 만족해서 결혼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63.4%로, 남성보다 9.5%포인트 높았다. 남성은 돈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7.0%로, 여성보다 10.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