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0억 암호화폐 해킹에 세탁까지…치밀해지는 北해커조직

비트코인 이미지. 셔터스톡

비트코인 이미지. 셔터스톡

‘라자루스 그룹’으로 알려진 북한의 해킹 그룹의 주도로 북한이 지난해 약 4억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해킹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미국의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모두 3억9500만달러(한화 약 4680억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해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킹 공격은 주로 투자 회사와 거래소에 집중됐고 피싱과 악성코드, 악성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가상자산을 빼돌린 뒤 이를 북한이 운영하는 지갑에 저장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체이널리시스는 북한의 라자루스 그룹이 이를 주도했다고 보고 있다. 라자루스는 북한군 정찰총국과 연계된 집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과 유엔 제재 명단에 포함돼 있다.

이 조직은 지난 2014년 미국 소니픽처스를 해킹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제사회에 이름을 알렸다.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2017년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유포, 2019년 인도 현금인출기 공격 등의 배후로도 의심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특히 세탁작업이 정교화되고 있는 북한의 해킹 패턴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북한이 해킹한 암호화페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로, 2017년 100%에서 5분의1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더리움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고, 알트코인과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 나머지 22%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알트코인과 ERC-20 토큰을 거래소에서 이더리움으로 교환해 이더리움과 섞은 뒤 이를 다시 비트코인으로 바꾸고, 기존 비트코인과 합쳐 세탁한 후 이를 새로운 지갑에 저장한 뒤 아시아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옮겨 현금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북한이 ‘디파이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어 “디파이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지 않기 때문에 자산 동결 위험없이 정체를 노출하지 않은 채 한층 다양한 거래소 이용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북한은 해킹한 암호화폐의 상당부분은 현금화하지 않은 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북한이 1억7000만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세탁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북한의 해커들이 항상 해킹한 암호화폐를 즉각 세탁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이어 “이유는 정확하지 않으나 해당 해킹에 대한 관심이 가라앉기를 기다려 손쉬운 현금화를 노릴 수 있다”면서 “결과적으로 북한은 가상자산의 현금화에 절박하거나 서두르지 않으며, 주의깊은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