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중앙포토
이런 가운데 두 후보는 ‘판박이 공약'을 내놓고 있습니다. 가족 리스크, 녹음 파일 등으로 얼룩진 이른바 ‘비호감 대선’에서 공약마저 흡사해 유권자의 결정을 늦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지난해 12월 이 후보는 병사 월급을 200만 원으로 올리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지난 9일 윤 후보도 페이스북을 통해 ‘병사 봉급 월 200만 원’을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19일 윤 후보가 “가상자산 투자 수익을 5000만 원까지 완전히 비과세하겠다”고 밝히자 21일 이 후보는 “가상자산 손실을 5년 동안 이월 공제하고, 투자 수익은 5000만원까지 비과세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이외에도 두 후보는 부동산 공약, 수도권 교통 정책 등의 분야에서도 똑닮은 공약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무분별한 선심성 공약을 비판하는 네티즌이 많습니다. “자기들 한 표라도 더 받으려고 발악하는 거지 뭐. 일단 뿌리고 나라 경제는 그다음으로 생각하는 거지.” “거짓 공약, 안 지킬 공약, 표를 위한 공약, 포퓰리즘 공약이니깐 둘이 비슷한 거지.”
반면 국민에게 필요한 공약은 유사해도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좋은 공약은 같아도 됨. 남이 했다고 안 하는 건 요즘 정서에 안 맞지.” “공약은 시간이 지날수록 비슷해질 수밖에… 실천하고 이행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신중한 접근을 통해 유권자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네티즌도 있습니다. “공약은 지키지 않았다 해서 처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공약 이행률이 높은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국민의 올바른 판단이다.” “공약이라는 게 당장 필요한 부분, 고쳐야 할 부분을 건드리는 건데 꼭 무 자르듯 백 퍼센트 후보마다 달라야 한다는 법이 있을까요? 다만 국민은 공약이 헛말일지 지킬만한 후보는 누구일지를 판단하면 되겠지요~”
e글중심이 네티즌의 다양한 생각을 모았습니다.
* e 글 중심(衆心)은 '인터넷 대중의 마음을 읽는다'는 뜻을 담았습니다.
* 커뮤니티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 반말과 비속어가 있더라도 원문에 충실하기 위해 그대로 인용합니다.
#다음
"선심성으로 대책 없이
막 푼다면
결국 그 짐은
모두 국민들이 져야 합니다.
진정으로 국민을 생각한다면
표를 위함이 아닌
진짜 국민을 위하는
공약을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ID '희망이요'
막 푼다면
결국 그 짐은
모두 국민들이 져야 합니다.
진정으로 국민을 생각한다면
표를 위함이 아닌
진짜 국민을 위하는
공약을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ID '희망이요'
#네이버
#네이버
#다음
#네이버
#다음
이시영 인턴기자
지금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들입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원글로 이동합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원글로 이동합니다.
커뮤니티 HOT 이슈는...
1. 인스티즈 〈한국인들 밥 먹는 속도〉
2. 더쿠 〈호불호 갈리는 라면 조리법.gif〉
3. 네이트판 〈극과 극인 미니멀리스트와 맥시멀리스트의 만남〉
4. 오늘의유머 〈본인 인스타 팔로우수에 놀란 다람쥐〉
5. 웃긴대학 〈배달 끊기 릴레이.jpg〉
<라면 끓이는 방법좀 알려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