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글로벌 투자 은행 ‘크레디트 스위스’는 지난 20일 내놓은 ‘글로벌 부 보고서 2022’에서 전세계 초고액 자산가 ‘수퍼리치’(UHNW)를 집계했다. 129만명은 2020년 117만4000명에서 11만6000명 가량 늘어난 수치다.
보유 자산을 기준으로 ‘글로벌 톱 1%’에 들어가는 한국 성인은 104만3000명, ‘글로벌 톱 10%’에 속하는 성인은 1848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순자산이 5000만 달러(약 696억원)가 넘는 수퍼리치는 미국, 중국, 독일, 캐나다, 인도, 일본, 프랑스, 호주, 영국,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11번째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기준 한국 성인 1명당 평균 자산은 23만7644달러(약 3억3116만원), 자산 중간값은 9만3141달러(약 1억2979만원)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한국의 부의 불평등은 상대적으로 낮다면서 이는 부분적으로 좀 더 평등한 소득 분배를 반영하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속세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또 세계가 코로나19 대유행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전세계 수퍼리치 수가 26만4200명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수퍼리치가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후유증에서 회복되는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과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라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2021년 말에 순자산이 5000만 달러(약 696억원)가 넘는 초고액자산가는 26만4200명인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2020년 말 21만8200명을 기록했던 데서 4만6000명 넘게 늘어난 것이다. 2020년 초고액자산가 수도 2019년보다는 4만3400명 많은 것이었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전세계 자산 규모가 2021년 말 463조6000억 달러(64경5100조원)로 전년보다 9.8% 늘어났다고 추산했다. 같은 기간 성인 1인당 부는 6800달러(947만원) 늘어 8.4%의 증가율을 보였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앤서니 쇼록스는 “지난해는 거의 부가 폭발했다. 아마 우리가 기록한 어느 해보다 증가폭이 더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