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중앙포토
경북 구미에 있는 가전 제조업체 A사는 최근 생산비 부담이 커지면서 ‘마른 수건 쥐어짜기’에 나섰다. 이 회사 재무담당 임원은 “원료 대금부터 물류·인건비까지 안 오룬 게 없다. 대체로 3~10%는 원가가 올랐다”며 “임대료부터 출장비, 교통비 등 모든 비용을 최소화하는 하는 중”이라고 고충을 털어놨다.
임금·원자잿값·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 영향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이 큰 폭으로 부담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기업 생산비용 증가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올 상반기 생산비용이 지난해보다 8.7% 늘어났다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0.8%)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다. 최근 10년(2011~21년) 증가율 평균인 1.9%와 비교해도 4.6배 높다.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생산비용이 10.6% 늘어 서비스업(6.6%)보다 증가 폭이 컸다. 특히 원유를 주원료로 하는 석유정제(28.8%)와 화학(10.5%), 구리·알루미늄·철광석 등 광물을 중간 투입물로 사용하는 비금속(9.7%), 1차 금속(8.2%), 금속(7.2%) 등에서 생산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천구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제조업의 경우 생산과정에서 수입 원자재를 많이 필요로 해 국제 유가나 광물 가격, 환율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며 “현재의 기업 생산비용 증가는 상당 부분 거시적 환경 변화에 따른 것으로 개별 기업 차원에서 대응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임금 상승의 여파로 보건복지, 사업지원, 도소매 등 저부가 서비스업에서도 생산비용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이들 산업은 진입장벽이 낮고 경쟁이 치열해 비용을 서비스 가격에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며 “영세 소상공인은 늘어난 인건비 부담을 고용 감축, 사업장 폐쇄 등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원자재 안정적 확보, 금융 지원 절실”
또 저부가서비스업의 경우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에 대한 금리 부담 경감, 추가적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등 정부의 금융 지원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기업 내부적으로 생산비용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생산성 향상 지원, 에너지 가격 변화 대비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규제를 풀어 기업의 투자와 기술 혁신을 자극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소프트웨어(SW)·연구개발(R&D) 등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지식 전파를 통해 생산성 증대를 이끌어야 한다”며 “에너지 측면에선 국내 산업을 탈탄소 및 에너지 절감형 산업구조로 전환하고, 민간·공공의 협업을 통해 에너지 저감 기술을 개발과 상용화 촉진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부문별 원가구조를 바탕으로 올 상반기 원자재, 원·달러 환율, 임금 증가율 등을 대입해 가격파급 효과를 추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