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6일 오후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 옆 도로에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주최한 총파업 출정식에 참가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노조는 29일 최종 조정회의가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 차 운행부터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노조협의회는 최종 협의가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 운행을 전면 중단할 방침이다. 노조협의회에는 도내 전체 노선버스의 92%에 해당하는 47개 업체 버스 1만 600여대(공공버스 2100여대, 민영제 노선 8500여대)의 기사가 속해 있다. 파업 참여 버스 중에는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광역버스도 대부분 포함돼 있다. 협상이 결렬되면 30일 출퇴근길 대란이 예상된다.

지난 26일 오후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 옆 도로에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주최한 총파업 출정식에 참가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노조는 29일 최종 조정회의가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 차 운행부터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반면 사용자 측은 최근 경유가 등 원자재비 상승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토로하는 한편 경기도가 나서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이뤄주지 않으면 노조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경기 버스노조 “이행 불확실한 준공영제 확대 시행안 거부”
노조협의회 측은 “준공영제의 확고한 전면시행과 임금 차별 해소를 위해 물러섬 없이 싸울 것”이라며 “사용자 측의 입장 변화를 보여주지 않는다면 안타깝지만, 파업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고 입장이다. 반면 사용자 단체 측은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운송수익이 연간 3000억원 줄었고 국제 유가도 오르면서 매년 7000억원 수준의 손해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노조의 요구를 들어줄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 도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파업 대비해 ‘경기도 비상수송대책본부’ 구성
동시에 파업노선을 보완하기 위해 비(非) 파업 시내버스·마을버스 1377대를 증차·증회하기로 했다. 또 해당 시·군 택시 1만 888대를 대상으로 출퇴근 및 심야시간 대 집중 운행을 독려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시·군별 홈페이지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대체 노선을 안내하는 등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협상 전까지 노-사간 원만한 합의가 유도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나, 오늘 자정 전후로 파업실행 여부 확정 시 언론 및 비상재난문자 등을 통해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상세히 알리고, 시·군 및 관계기관 간 협조체계를 구축해 비상대책 추진에 완벽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