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언론자유대책특별위원장이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KBS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 항의 기자회견에서 규탄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고 의원은 9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지난 8일 김의철 사장이 “정부가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을 철회하면 사장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정부가 분리 징수를 강행하면, 원하는 사장 교체를 못 이루기 때문에 무능함을 자인하는 셈”이라며 “(김 사장이) 좋은 신의 한 수를 뒀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KBS 수신료 문제와 사장 퇴진은 별개라고 아무리 외친다 한들, 같이 연동된다고 박혔기 때문에 답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판도라의 상자를 괜히 열었다는 후회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분리 징수 이후의 후속 대책이 훨씬 더 중요한데 정부가 아무런 대책을 안 내놓고, 준비해놓지 않으면 용산 청와대 꼴이 나는 것”이라며 “KBS가 계속 유지되기 위해 세금 등 재정 상황을 점검하고 자구책을 찾도록 광고 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했다.
일각에서 KBS의 방만 경영과 편향성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는 “방송의 편향성을 논하는 건 굉장히 위험하다. 편성권을 누구도 건드릴 수 없게끔 돼 있다”며 “정부가 (개입할) 경우 직권남용이고 방송법을 위반한 사안이 돼서 오히려 그분들이 법정에 서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으로 거론되는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의 아들 학교폭력 논란에 대해서는 “현재 학생들에게 정신적 실질적인 피해를 주는 가장 큰 장본인 가해자는 이동관 본인”이라며 “만약에 이동관 특보가 방통위원장 지명에 대한 얘기가 안 나왔더라면 이미 지난 학교폭력 논란이 불거질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어 “본인이 입장 정리를 하는 게 일단 첫 번째입니다. 본인이 만약 계속하겠다 하면 학교폭력 논란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회에서 짚고 가지 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