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 대형 쇼핑몰 내 전기차 충전소 모습. 연합뉴스
2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한국의 전기차 수입액은 약 19억4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독일-중국-미국 순이었다. 다만 최근 들어선 중국에서의 전기차 수입이 부쩍 늘었다. 지난 8월 사상 처음으로 월간 기준 수입 1위를 차지했고,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자리를 지켰다. 특히 10월 중국 전기차 수입액은 1억7170만 달러로 독일(7042만 달러)의 두 배를 훌쩍 넘겼다. 2021년 5위, 지난해 3위를 거쳐 빠른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다. 전기차 내수 시장이 충전·가격 이슈 등으로 주춤한 상황에서 유독 돋보이는 성적을 거둔 셈이다.

김경진 기자
또한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중국 전기차 업체들도 버스·트럭 등 국내 상용차 시장 공략을 이어가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산 전기 화물차 판매 대수는 2300여대에 달한다. 전국에서 운행되는 전기 버스 가운데 BYD(비야디) 등 중국차 비중은 절반에 가깝다. 중국 업체들이 포화 상태에 직면한 자국 자동차 시장을 넘어 해외 진출에 나서는 가운데 현대차·기아 등이 버티는 한국에서도 덩치를 키우는 셈이다.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의 자동차 전체 수출 대수는 39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9.7% 늘었다.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기가팩토리 전경. 신화=연합뉴스
그러다 보니 무역수지가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대중 전기차 무역적자는 2018년 487만 달러에서 올해 1~10월 5억1322만 달러로 100배 이상 껑충 뛰었다. 중국으로의 전기차 수출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가파른 수입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해서다.

김경진 기자
무협 장상식 실장은 "앞으로 중국에서의 전기차 수입과 이에 따른 대중 무역적자가 더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면서 "국내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우대 정책을 펴거나 한국 기업들이 편의성·품질 등의 초격차로 경쟁력을 키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