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뉴스1
삼성전자는 20일 사내망을 통해 올해 하반기 사업부별 목표달성 장려금(TAI·옛 PI) 지급률을 공지했다. 지급일은 오는 24일이다. TAI는 OPI(옛 PS)와 함께 삼성전자의 대표적 성과급 제도로 꼽힌다. 삼성반도체의 주력인 메모리사업부는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파격적 성과급이 책정됐다. 반도체(DS)부문 메모리사업부는 올 하반기 월 기본급의 200%를 성과급으로 받는다.
메모리사업부, 200% 성과급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메모리사업부에 주어진 성과급을 두고 삼성 안팎에선 파격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반도체 혹한기’에 15조원 가까운 적자를 냈던 삼성반도체는 올해 업황 회복으로 다시 흑자를 냈지만 지난 30년 동안 압도적 1위를 지켜왔던 D램 기술 리더십이 흔들리는 등 여전히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영업이익에서도 매출이 절반 수준인 SK하이닉스에 밀릴 가능성이 크다. 이에 삼성반도체 내부에서도 올해 성과급이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책정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전경. 사진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뿌리’에 자존심 세워줬다

삼성반도체 수장인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 사진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내부에서도 파격적 성과급은 메모리사업부에만 주어졌다. TAI 지급률 200%를 기록한 메모리사업부와는 달리 여전히 부진에 빠져있는 파운드리사업부·시스템LSI사업부의 TAI 지급률은 10분의 1 수준인 25%에 불과했다. 전영현 부회장이 이번 연말 인사에서 사업부장까지 직접 겸직하며 이끌게 된 메모리사업부의 삼성반도체 내 위상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세트(DX)부문에서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와 모바일경험(MX) 사업부는 기본급의 75%를 받게 됐다. 생활가전사업부는 37.5%·네트워크사업부에는 25% 수준의 TAI 지급률이 책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기는 모든 사업부가 50%로 책정됐으며 삼성SDI의 경우 중대형전지사업부는 37.5%, 그 외 사업부는 25%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