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4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하얼빈'이 촬영 당시 비하인드컷을 공개했다. 사진 CJ ENM
국내에선 상업영화치고 전개가 느리다는 반응도 있지만 “역사의 한 장면을 아름답게 남겨주어 감사하다”(이하 CGV 예매앱 관람평) 등 호평이 우세하다. 이런 관객도 있었다. “수업시간에 글로 배운 것보다 더욱 실감나게 그때 그 분통함과 애절함, 모두의 애국심이 느껴졌습니다.”
그런데 영화 속 묘사를 그대로 믿어도 좋을까. 연출을 맡은 우민호 감독(‘내부자들’, ‘남산의 부장들’)은 개봉 전 본지와 인터뷰에서 “대자연 속에 독립군들의 정신과 마음을 명화(名畫)처럼 보여주고자 했다”면서 미학을 위해 상상을 보탰다고 밝혔다. 시나리오 작가 김경찬, 우 감독이 공동 각본을 맡았다.
폭설 속 신아산 전투, 실제론 7월
학자들에 따르면, 을사늑약(1905년)을 강행한 이토 히로부미(릴리 프랭키) 저격 사건까지 큰 맥락은 사실이 기반이되, 허구적 상상이 상당히 가미됐다는 게 중론이다. 이를 중심으로, “가톨릭 신자로서 안중근 의사의 가장 큰 고뇌, 즉 살인하지 말라는 십계명에 어긋나는 거사란 지점을 제대로 다루지 못 했다”는 비판과 “역사학이 밝히지 못한 부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흥미롭다”는 입장이 교차한다.

영화 '하얼빈' 초반부 신아산 전투 장면에서 극중 독립군 김상현(조우진, 가운데)이 일본군과 육탄전을 벌이고 있다. 기록적 폭설이 내린 전라도 광주에서 해당 장면을 촬영했다. 사진 CJ ENM
신아산 전투 시기도 실제론 눈 내리는 겨울이 아닌 여름(7월)이었다. 전쟁사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사를 연구해온 신효승 연구위원은 “영화적으로 안중근 의사가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는 장면과 연결해 (계절을) 변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전투신에서 독립군이 원거리 매복전을 벌이다 처절한 백병전에 뛰어드는 상황에 대해서도 “실제 전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며 “(전술적으론) 납득이 가지 않지만, 비장미를 위한 선택일 것”으로 봤다.
변절한 독립군 밀정 "허무맹랑한 얘기 아냐"

'하얼빈'에서 남편을 여읜 공부인(전여빈, 오른쪽)이 안중근 의사와 함께 작전에 나선 모습. 공부인은 창작진이 상상을 보태 만든 인물이다. 사진 CJ ENM
독립군 사이에 의심을 싹틔우는 밀정 설정은 “일본 밀정이 5만명이나 깔려있었다는 그 시절”(신운용) “크게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니”(유정환)란 평가다. 우영장 안중근과 함께 좌영장으로서 의병부대를 지휘한 실존 인물 엄인섭이 훗날 변절해 연해주 지역 일제 밀정으로 활동했다는 기록이 있고, KBS ‘시사기획 창-밀정 편’(2019)은 우덕순이 일본 외무성 지원을 받는 조선인민회 간부였던 사실 등을 근거로 밀정설을 제기하는 등 학계에서도 여러 주장이 나온다.
한일합병 전까지 독립투사 고뇌 잘 드러나

영화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가 세상을 떠난 동지들에 대한 미안함과 사명감을 짊어진 내면을 끝없이 얼어붙은 대동강을 건너는 모습으로 상상한 장면. 몽골 홉스골 호수에서 촬영했다. 익명으로 요구한 한 안중근 연구가는 실제 대동강은 강폭이 매우 좁다며 영화가 미학적 선택을 한 것으로 해석했다. 사진 CJ ENM
하얼빈 의거 후 안중근 의사가 러시아어로 “한국 만세(Корея! Ура)”를 외친 장면은 큰 이견이 없었다. 비상계엄 시국과 예기치 않게 맞아 떨어졌다고 평가 받는 안중근 의사의 후반부 내레이션은, 영화적 상상으로 보는 학자가 많았지만 우 감독은 실제 인용구를 변주한 것이란 입장이다. 『안중근 동양평화론 자서전』(부크크) 속 “우리들이 단 한 번의 의거로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한 일입니다. 첫 번에 이루지 못하면 두 번, 세 번, 열 번을 해야 하며 백 번 꺾여도 굴복하지 말아야 합니다”라는 안중근 의사 인용구에 “불빛을 들고 나아가야 한다” 등 일부 구절을 그가 덧붙여 완성했다.
"안중근 고뇌 제대로 못 다뤄…'국뽕' 심해"

영화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와 독립군들이 전투에서 생존한 후 모인 회의 장면. 신운용교수는 "일본 밀정이 5만명이나 깔려 있던 당시 이 정도 인원이 모인 회의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영화적 상상"으로 바라봤다. 사진 CJ ENM
익명을 요구한 한 안중근 연구가는 “‘하얼빈’에서 안중근 모습이 제대로 고증된 건 골초란 것밖에 없다. 키 163㎝ 작은 거인인데 안중근, 하면 대부분 우람하고 멋있는 배우가 맡는다”면서 “3년간 의병 운동에 실패도 하는 등 결함도 많지만,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희생과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진정한 고뇌를 봐야 하는데 영화고 소설이고 제대로 다룬 작품이 없다. ‘국뽕’이 심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창작적 상상력 좋지만, 사실과 다르다 자막 필요"

영화 '하얼빈' 촬영 당시 우민호 감독(왼쪽부터 다섯번째)과 주연 현빈(왼쪽 네번째)의 모습. 영화엔 아우를 잃고 마적이 된 과거의 독립투사(정우성)도 등장한다. 사진 CJ E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