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서 직원이 골드바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장 중 한때 온스당 2798.24달러까지 상승했다. 이는 전장 대비 1.4% 높고, 지난해 10월에 기록한 최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미국 금 선물은 1.8% 상승한 2845.20달러로 집계됐다.
이러한 금값 상승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를 예정대로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면서 무역 갈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안전 자산 수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짐 위코프 킷코메탈 선임 시장분석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및 외교 정책에 관한 불안감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금과 은 가격은 높아지는 추세로 기술적인 매입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 금융서비스 회사 하그리브스 랜스타운의 수잔나 스트리터 자금·시장 책임자는 메모에서 “금은 예측할 수 없는 폭풍을 극복하기 위해 피난처를 찾는 투자자들에게 안전 자산이다”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금값 랠리’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JP모건와 골드만삭스, 씨티 등은 올해 금 시장 전망을 내놓으면서 금값 목표가격을 온스당 3000달러로 제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