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공진화해 온 미생물 군락
식이 변화, 항생제로 오남용으로
미생물 먹이 줄고 밸런스 무너져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선구자들이 건강의 핵심으로 주목한 건 '장'이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질병은 장에서 시작하며, 음식으로 못 고칠 병은 없다”고 했다. 조선 중기 의학자 허준은 “장이 깨끗하면 정신도 맑아진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 빌 게이츠는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 생태계)이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에는 인간의 건강을 간절히 바라며 공진화해 온 미생물 군락(바이러스·세균·곰팡이)이 산다. 공진화는 밀접한 관계의 종이 서로 영향을 주며 함께 진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 생존에 기여하는 반려 미생물들은 이로운 면역 물질을 만들어내고 기분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근래 들어 이들 미생물의 먹이는 줄고, 다양성이 무너졌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무분별한 항생제 남용이란 직격탄을 맞으면서다. 마지막 항생제로 여겨지는 카바페넴 계열 약에도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CRE) 감염증 사례는 2023년 3만8406건으로 보고됐다. 5년 새 5.3배(2017년 5717건) 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50년이면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만 명으로, 암(820만 명)으로 인한 사망자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면역력 과하면 만성 염증 유발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홍섭 교수는 “고기를 많이 먹고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를 덜 먹는 방향으로 식이가 바뀌고 비만이면 장내 미생물이 변화해 장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본다"며 "인공감미료와 패스트푸드 섭취 증가, 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한 감염 질환 감소가 염증성 장 질환 발병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가 많다"고 설명한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장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뇌가 대표적이다. '장-뇌 연결축'이라고 하는데, 장과 뇌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연결돼 있다는 의미다.
장내 미생물은 뇌로 가는 신경전달물질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원료 물질의 90%를 만든다. 장에 염증이 생기면 뇌에도 염증을 일으켜 불안·우울·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장을 제2의 뇌라고 부르는 이유다.
멀리 있는 뇌·폐와도 상호작용
어느 미생물이든 인체에 절대적으로 유익하거나 유해하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평소엔 얌전히 공존하다가도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 강한 독성을 드러내는가 하면, 있어야 할 자리를 벗어났을 때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대장에 있는 정상 균이 방광으로 옮겨가면 염증을 유발하는 식이다.
식단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도 개인의 장내 미생물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대한면역학회 방예지(서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학술위원은 "지중해식 식단을 잘 준수한 사람의 심혈관대사 질환 위험 감소 연구에선 '프리보텔라 코프리균'이라는 미생물의 기능 특성이 혼재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개인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맞는 균주를 선별·선택하는 게 앞으로 치료제 개발의 중요 과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Tip 착한 반려 미생물 기르려면
'유익균 샤워'는 신생아의 면역력을 결정하는 과정의 하나다. 자연 분만으로 태어난 아기는 산도를 지나며 엄마로부터 상당한 양의 장내 미생물을 물려받는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여도 모유 수유를 하면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충분히 형성한다. 엄마의 모유엔 다량의 면역 성분이 들었다. WHO는 생후 24개월 이상의 모유 수유를 권장한다. 생후 3년 정도면 아이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성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발달한다.
소화·발효하는 양파·버섯 먹이로
가스 차면 오렌지·감자·토마토
노인은 국물·음료로 먹기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