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 출석해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출석해 ‘국무회의 당시 동의한 사람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동의한 분도 있었다”며 “제가 말씀드리기는 곤란하다”고 증언한 것과 배치되는 주장이다.
부 의원의 ‘계엄 선포와 관련한 국무회의는 실제적으로 없었던 것이냐’라는 질문에도 “도저히 정식 국무회의로 보기 어렵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오랫동안 정부에서 근무했던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생각한다”며 “정식 국무회의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데 생각이 같다”고 말했다. 다만 “법적으로 이것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6일 헌법재판소에 대한 입장을 묻는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헌재의 판결은 정말 공정해야 하고, 절차적 정당성과 상식에 맞아야 한다”며 “헌재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판결을 하지 않으면 국민적 분열, 의견의 분열에 대해 직무가 정지된 총리지만 정말 큰 걱정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가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헌재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