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청 1위' 로보락, 신제품 공개…개인정보 유출 논란엔 "오해"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로보락 2025 신제품 발표 행사에서 제품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로보락 2025 신제품 발표 행사에서 제품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인 중국 가전 기업 로보락이 20일 신제품을 선보였다. 틈새 청소가 용이하도록 두께를 7.98cm까지 확 줄였고, 넘을 수 있는 문턱 높이는 최대 4cm까지 높였다. 국내 대기업이 잇따라 로봇청소기 시장에 뛰어드는 상황에서 차별화된 제품으로 1위 자리를 유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개인정보 보안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날 로보락은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2025 로보락 론칭쇼에서 플래그십 모델인 ‘S9 MaxV 울트라’와 ‘S9 MaxV 슬림’, 무선 습·건식 청소기 ‘F25’ 시리즈를 공개했다. 지난 5일 중국 에코백스가 한국에서 론칭쇼를 연 지 약 2주 만이다. 

플래그십 제품의 두께는 두 개 모두 7.98cm로 전작인 S8 Max 울트라(9.65cm)보다 1.67cm 더 얇다. 청소 환경에 맞춰 전방 휠을 들어 올리는 '섀시 리프트 시스템'과 높이 조절 기능 등을 탑재해 단일 문턱은 3cm, 이중 문턱은 최대 4cm까지 넘는 이동성을 갖췄다. 출고가가 169만원인 슬림 모델(일반형 기준)보다 비싼 울트라 모델(184만원)은 '리트랙트센스(RetractSense)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해 센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됐다. 

이날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댄 챔(Dan Cham) 아시아태평양 마케팅 총괄은 “한국은 치열한 시장이지만 로봇청소기만큼은 (우리가) 굉장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 10년 전부터 해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평균 20% 성장률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로보락은 지난해 1월 기준 점유율 48%를 기록하며 선두에 서 있다.  

중국 기업이 2021년 내놓은 '먼지 청소+물걸레+물 세척' 올인원 기능을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LG전자는 같은 해 8월에서야 출시했다. 로보락은 지난해 처음으로 일체형 세탁건조기를 출시하며 제품 다변화에 나서기도 했다.


다만 중국 딥시크 여파로 최근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온 점은 악재다. 앞서 로보락은 ‘개인정보 처리방침’ 문건에 한국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업체 투야(Tuya)에 공유할 수 있다고 적시해 논란이 일었다.  

로보락 측은 “로보락의 서버는 모두 중국이 아닌 미국에 있으며, 중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일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 “제품 내 카메라는 하드웨어 잠금과 앱 잠금을 통해 이중 잠금으로 돼 있다. 불필요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됐다가 자동 삭제된다”고 덧붙였다. 오해가 없도록 정책상 나와 있는 문구와 표현을 수정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는 점과 이번 S9 MaxV 슬림’에 탑재된 AI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딥시크와 관련이 없다는 점도 설명했다.   

로보락 입장에선 본격적으로 로봇청소기 시장에 뛰어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점도 위협 요소다. 실제 지난해 1월만 해도 48%로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절반을 장악했던 로보락은 삼성과 LG가 잇따라 올인원 제품을 내놓자 지난해 연말 점유율이 30%대 후반~40%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삼성은 30%대, LG는 10%대 점유율을 기록하며 빠르게 추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