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연금 1%p 이견 대치...자동조정장치 두고도 충돌

서울 국민연금공단 지역본부의 모습. 뉴스1

서울 국민연금공단 지역본부의 모습. 뉴스1

정부와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은 24일 국민연금 개편안을 논의하기 위한 비공개 실무급 회의를 열었지만,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다.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다. 여야는 보험료율(내는 돈)을 13%로 올리는 것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두고는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를 주장하며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회의에는 여야 정책위의장인 국민의힘 김상훈·민주당 진성준 의원, 민주당 소속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복지위 양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민주당 강선우 의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참석했다.

특히 여야는 자동조정장치(기대여명·가입자 수 변화 등에 연동해 연금액 정기 인상률 낮추는 제도)를 두고 견해차가 더 벌어졌다. 앞서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자동조정장치 제도에 ‘발동 시 국회 승인’이란 추가 조건을 덧대는 타협안을 제시했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그런 조건이 더해진다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그러나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24일 실무급 회의 뒤 연 기자간담회에서 “(자동조정장치를) 수용을 결정한 건 아니다.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진 의장은 “연금과 직접적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단히 신중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왔다”고 설명했다. 시민사회 반발에 민주당이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진 의장은 “(소득대체율 등 여야 이견이) 아직은 좁혀질 여지가 별로 없다”고 했다.

민주당은 27일 본회의에서 국민연금 모수개편(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조정)안을 단독 처리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진 의장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가 국정협의회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연금개혁 법안을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씀하셨다”며 “(소득대체율) 1%포인트 정도 차이라면 단독 처리할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민연금 구조개편안은 모수개편안 처리 이후에 논의한다는 입장이다.


김상훈 국민의힘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도 구태여 정부안을 고집하진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조만간 실무협의회를 다시 개최해서 여야 합의안을 도출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자동조정장치에 대해선 “정부 입장도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된다면 소득대체율은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그간 반대해온 ‘발동 시 국회 승인’ 절차에 대해서도 “자동조정장치가 아니라 수동조정장치가 되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지만 민주당의 부정적 인식을 고려해 절차는 유연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