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점론 나온 금값, 어떻게 투자해야 하나
경제+
금값 상승세가 매섭다. 지난 1년간 46.1% 치솟아 같은 기간 미국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상승률(23.3%)을 웃돌았다. 최근 다소 조정도 받지만 국제 금값은 트로이온스(이하 온스)당 2956.10달러(20일 선물 기준)를 찍었고, 한 돈(3.75g)짜리 돌반지 가격도 60만원을 돌파했다. 미국 트럼프 2기 출범으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되자 금 수요가 폭발한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금이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수혜 자산에 투자)의 대장주가 됐다”고 평가했다. 이제 고민은 ‘지금이라도 금을 사야 하나, 금붙이를 꺼내 팔아야 하나’다. 전문가 의견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투자 땐 어떤 방식이 좋을지 따져봤다.

정근영 디자이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무이자 자산인 금의 투자 매력을 높인다는 주장도 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선회하지 않는 한 금 투자 환경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금값 고점론’도 나오기 시작했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금에도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우려에 영국 런던에 보관하던 금을 미국으로 옮기려는 수요가 늘면서 금값에 프리미엄(웃돈)이 붙었다”며 “관세를 딜(거래)로 활용하는 트럼프가 관세 부과를 유예하는 행동을 반복하면 프리미엄이 빠질 수 있다”고 했다.
◆절세엔 KRX 금, 간편 투자는 금 ETF=‘그래도 불안할 땐 금’이라고 본다면 남은 문제는 ‘어떤 투자법을 택할까’다. 방법은 크게 네 가지다. ① 금은방이나 은행에서 실물 골드바를 사는 것이다. 금값이 올라도 매매차익에 세금이 붙지 않는다. 하지만 골드바를 살 때 부가가치세(10%)와 거래 수수료(5%)를 내야 한다. 투자 수익률로 따지면 사자마자 15% 손실을 보는 구조라 단기 투자로는 적합하지 않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지난 1년, 금 투자 수익률 1위는=투자 성적표는 어떨까. 이들 네 가지 투자법의 지난 1년간(지난 14일 기준) 수익률을 따져본 결과, KRX 금시장을 통한 투자가 89.9%로 가장 높았다. 매매차익에서 세금과 수수료를 뗀 수치로, 골드뱅킹(44.8%)과 골드바(40.8%)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이유가 뭘까. KRX 금시장은 국제 금 시세에 달러당 원화가치(환율)를 반영해 금값을 산출한다. 달러가 쌀 때 금을 샀는데, 최근 달러 강세로 환차익이 늘어 다른 투자 방식보다 수익이 커진 것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기초자산의 성격도 수익률 차이를 만들었다. 금 ETF는 현물과 선물(先物) 기반으로 나뉜다. 선물 ETF는 기초자산을 계속 롤오버(만기가 다가온 보유 선물을 팔고 다음번 선물로 갈아타는 것)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용이 들어 수익률을 갉아먹는다. 국내 금 현물 ETF는 ‘ACE KRX 금현물’뿐이다. ‘ACE KRX 금현물’이 같은 금 현물 ETF인 미국 ‘SPDR 골드트러스트(티커GLD)’보다 수익률이 높은 건 왜일까.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국내 금값이 수요 급증으로 해외 시세보다 급격히 뛴 게 한몫했다”고 말했다.
◆해외보다 20% 비싼 국내 금값 ‘주의’=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절세가 중요하면 KRX 금 투자를, 거래 편의성을 원하면 금 ETF를 추천한다”며 “장기 투자자는 골드바 매입도 괜찮다”고 말했다. 퇴직연금 계좌에 금을 담고 싶으면 국내 금 현물 ETF를 활용해야 한다.

정근영 디자이너
ETF의 괴리율은 ETF가 담고 있는 기준가격(순자산가치)과 시장가격 차이를 비율로 표시한 투자위험 지표다. 괴리율이 플러스인 경우 ETF의 시장가격이 과대 평가됐다는 뜻이다. 박수민 신한자산운용 ETF상품전략팀장은 “ETF가 양(+)의 괴리율을 보일 때 비싸게 샀다가 괴리율이 축소된 시점에 싸게 파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향후 괴리율 정상화 과정을 고려하면 KRX 금 현물보다 국제 금 현물이나 금 선물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사는 게 좋다”고 했다.
환율 전망도 신경 써야 한다. 황병진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초반, 또는 1300원대로 내려간다(원화가치 상승)고 보는 투자자는 환헤지 된 ETF를 골라야 투자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신의 돈에 관한 모든 이야기, 투자 인사이트를 드립니다. 돈 되는 '머니 정보' 더중플에서 더 많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77
당장 1000만원으로 뭘 살까, 트럼프빨 받을 ‘상반기 종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649
‘야성적 충동’ 자극하는 트럼프…투자 구루가 쓸어간 종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074
M7 죽고 ‘배트맨’이 왔다…AI, 올해 주목할 ETF 20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