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소재 인텔 본사. 이희권 기자.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3일(현지시간) “인텔과 TSMC 양사 경영진이 최근 인텔의 파운드리 부문을 운영할 합작 회사를 설립하는 데 잠정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새 합작 기업에선 TSMC가 20%의 지분을 보유하고 인텔과 다른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나머지 지분을 나눠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매체는 TSMC가 합작 회사의 지분 20%를 받는 대가로 일부 제조 기술을 인텔과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합작회사에 투자할 다른 반도체 기업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로이터는 TSMC가 인텔 파운드리 인수를 추진하며 엔비디아·AMD·브로드컴·퀄컴 등과 컨소시엄을 꾸리려 한다고 보도했지만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연례 개발자 회의(GTC2025)에 참석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난 초대받지 못한 파티”라며 선을 그은 바 있다.
인텔, TSMC와 손잡고 파운드리 적자 탈출?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점유율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트렌드포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4/04/2b809c18-9c5e-4145-9df6-c841cfd2737e.jpg)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점유율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트렌드포스]
다만 인텔과 TSMC의 제조 공정이 달라 기술 이전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대규모 구조조정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들어 인텔이 그다지 협력을 반기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TSMC로선 당장 인텔의 회생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텔 인수설이 제기될 때마다 반복됐던 주주들의 반발도 넘어야 할 산이다. 이에 대해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트럼프의 관세 압박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텔과의 협력은 압박을 피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될 것”이라며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수주를 받아오는 데에도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TSMC-인텔 협력에 파운드리 경쟁 심화 우려
TSMC와 인텔 협력에 대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지만 회의론은 여전하다. 김양팽 연구원은 “TSMC가 부담해야 할 몫이 크기 때문에 실제 양사의 협력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작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