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넘기니 ’7월 위기설’…”올해 대형 건설사 4곳 더 무너진다”

기자
이현 기자 사진 이현 기자
연초부터 ‘4월 위기설’이 돌던 건설업계에 최근 ‘7월 위기설’이 새로 등장했다.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시행되면 실수요자들의 구매 여력이 줄고 미분양 사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다. 오는 6월 제로 에너지 의무화로 새로 집을 지을 때 태양광 장비 등이 적용되면서 건설비용도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16일 나이스신용평가의 건설사 리스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 순위 1~100위 건설사 가운데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지난해 11곳에서 올해 15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2년 3곳에서 2023년 8곳으로 계속 증가 추세다. 해당 기업 대부분이 31~100위권 건설사다. 자금난에 취약한 중견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이야기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지방 사업장에 몰려있는 중소건설사는 위기에 더 크게 노출돼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대기업 건설사 미수금은 2배 미만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 건설사의 미수금은 4배 이상 증가했다. 

상위권 건설사들도 유동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수채권이 늘자 건설사들이 운전자금 확보를 위해 부족한 돈을 외부에서 빌려와 조달하면서 순차입금의존도는 2021년 말 -1.4%에서 지난해 10.1% 급등했다.

'지방 미분양'도 '7월 위기설'을 부채질 중이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61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호를 기록했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숫자는 11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미분양 주택의 75%(5만2461호), 악성 미분양 81%(1만9179호)가 지방에 몰려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계 '4월 위기설'을 진단한 보고서를 통해 "현재 상황이 1년 이상 지속하면 과거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에 준하는 불황이 올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밝혔다. 지난 2007년 서브프라임 사태 발생 후 4~5년이 지난 뒤 건설업 위기가 극대화된 전례로 볼 때 2022년부터 시작된 이번 건설업 위기 역시 올해 또는 내년이 불황의 정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