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美재무장관 만난다…산업장관도 방미, 협상 본격화

재무·통상 최고 당국자가 나란히 미국을 찾아 관세·무역 협상에 나설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 다음 주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과 만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 재무장관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방미 일정을 조율 중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발언하는 모습. 전민규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발언하는 모습. 전민규 기자

기재부는 이날 “미국 재무부는 다음 주 최 부총리 방미 기간 중 베센트 재무장관과 통상현안 관련 회의를 제안해 왔다”고 밝혔다. 미국이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뒤, 국가별 협상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기재부는 “현재 구체적인 참석자와 일정에 대해 조율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오는 22일부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떠나는 미국 출장에서 베센트 장관을 만날 계획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이루면 다음 주 미국을 찾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나 관세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이에 재무·통상 당국자가 따로 만나기보다 한 자리에서 ‘2+2’식의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통화 이후 한국과의 협상과 관련해 관세·산업·안보를 아우르는 ‘원스톱 쇼핑’을 강조한 만큼, ‘패키지 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미국을 상대로 한 무역 흑자 완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투자, 조선업 협력 등 카드를 중심으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사한 방위비 문제는 협상에 포함하지 않겠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최 부총리도 전날 국회에서 “(미국이) 방위비와 관련해서 관심이 있는 건 알고 있지만, 현재 준비하고 있는 의제에 방위비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전문가 사이에선 협상을 빠른 속도로 결론짓기보다 최대한 유리한 수위를 확보해야 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박성훈 고려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더 나쁘다’고 지적했던 한국 등 우방국과의 협상 결과를 다른 나라에도 적용하기 위해 강하게 밀어붙이는 전략을 쓰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정부는 미국과 협상과 별도로 국내 산업·기업이 맞을 통상 충격에 대비해 총 12조원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하고 있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추경안 심의를 위해 18일 임시국무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사업에 4조원 이상을 투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