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더중플 –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30)’입니다. 취재팀은 지난해 5월부터 ‘제1부-공화국 영웅 김동식의 인생유전’(1~10화), ‘제2부-대북공작원 정규필 전 정보사 대령의 증언’(1~7화), ‘제3부-북한에 납치됐던 정보사 블랙 요원의 증언’(1~8화)에 이어 ‘제4부-스파이 잡기 30년, 하동환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의 비망록 (1~7화, 연재 중)’으로 남북 분단의 비극 속에 인생을 바쳐 임무를 수행해야 했던 스파이들과, 그들을 뒤쫓아야 했던 수사관의 굴곡진 삶을 추적했습니다.
4부로 소개된 하동환(58) 전 국가정보원 대공수사단장은 30년 동안 스파이 잡는 부서에서 일했습니다. 일심회·왕재산·혁명조직(RO) 등 한국 현대사에 남을 만한 굵직한 대공 사건 수사에 직접 참여했습니다. 최근 법원에서 진행 중인 제주·창원·민주노총 간첩단 사건의 수사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정당 해산 심판으로 이어진 RO 사건 때부터 수사 과장을 맡아 대공 사건을 지휘했습니다.
더중앙플러스는 하동환의 증언을 통해 국정원이 지난 30년 동안 쌓아 온 간첩 수사 노하우가 세상에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은 베일에 가려져 왔던 남북 스파이 대리전의 실체와 양상을 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구독 뒤 볼 수 있습니다.
4부로 소개된 하동환(58) 전 국가정보원 대공수사단장은 30년 동안 스파이 잡는 부서에서 일했습니다. 일심회·왕재산·혁명조직(RO) 등 한국 현대사에 남을 만한 굵직한 대공 사건 수사에 직접 참여했습니다. 최근 법원에서 진행 중인 제주·창원·민주노총 간첩단 사건의 수사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정당 해산 심판으로 이어진 RO 사건 때부터 수사 과장을 맡아 대공 사건을 지휘했습니다.
더중앙플러스는 하동환의 증언을 통해 국정원이 지난 30년 동안 쌓아 온 간첩 수사 노하우가 세상에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은 베일에 가려져 왔던 남북 스파이 대리전의 실체와 양상을 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구독 뒤 볼 수 있습니다.

지난달 14일 경기도 평택 해군2함대사령부 서해수호관에서 하동환 전 국정원 대구지부장이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수거한 북한 어뢰 추진동력장치(모형)를 살펴보고 있다. 김종호 기자
〈제4부〉스파이 잡기 30년, 하동환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의 비망록
①“전쟁 준비중” 111 충격 제보…통진당은 이렇게 해산됐다
2010년 5월. 국정원 콜센터 111에 전화벨이 요란하게 울렸다. 수화기 넘어 목소리를 들은 담당 직원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직감했다. “선생님, 어떤 계기로 이런 제보를 하게 되셨나요”라고 물은 뒤 그의 신원과 제보 내용을 꼼꼼히 확인했다. 이어 국정원 대공수사국에 내용을 보고했다. 제보자는 RO 조직원이었다. 역사를 바꾼 한 통의 전화 내용은 간부들에게 공유됐다. 하동환은 제보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억했다.
“최근 북한 김정일에 이은 김정은 후계 체제를 보고 회의감이 들었습니다. 20세기 이후에는 아프리카에도 3대 독재를 유지하는 나라가 없습니다. 게다가 매년 북한 동포 수만 명이 굶어 죽는 게 말이 됩니까. 저도 20년 넘게 주사파로 활동해 왔지만 이건 아니라고 생각해 제보를 결심했습니다.”
제보자는 두 달 전 일어난 천안함 폭침 사건(2010년 3월 26일)도 언급했다. “북한이 쏜 어뢰에 피격당한 천안함이 침몰해 우리 해군 장병 46명이 사망했다. 그런데도 주사파는 여전히 이 사건을 ‘폭침이 아닌 좌초’ ‘정부의 자작극’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건 정말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심근경색으로 입원해 수술을 받았다는 보도가 잇따를 때였다. 북한은 김정은으로 권력 이양 속도를 높였다.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후 2012년 김정은은 후계자로 공식 선포됐다. 하동환에 따르면 북한을 추종하던 남한의 조직 안에서도 분열이 일어났다. 부자 권력세습은 마르크스주의 체제에서도 기본 이념과 배치되는 것이었다.
국정원은 제보자와 그의 가족 신변을 보호하면서 내사에 돌입했다. 2013년 8월 이석기 자택과 국회 사무실 등 10여 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하기 전까지 3년 3개월가량 첩보가 새어 나가지 않게 비밀리에 움직였다. RO 비밀 회합에서 수위가 높은 발언이 오고 갔다. 국정원은 RO 사건을 공개수사로 전환하기 직전 본부와 지부 수사관 거의 전원을 투입할 정도로 집중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쟁 준비중” 111 충격 제보…통진당은 이렇게 해산됐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5
“전쟁 준비중” 111 충격 제보…통진당은 이렇게 해산됐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5
②“저리가!” 현역 의원에 반말…이석기 보좌관, RO 실세였다

2013년 9월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국회의원 구인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당 관계자(오른쪽)와 국정원 직원(왼쪽) 간 몸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13년 9월 4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520호.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실 앞 복도에서 한 당직자가 국가정보원 수사관을 향해 손을 뻗었다. 그는 수사관의 멱살을 강하게 움켜잡았다. 막으려는 자와 집행하려는 자. 두 사람은 날카롭게 서로를 노려봤다. 늦은 여름 의원회관 복도에 엉겨 붙은 국회 직원들과 국정원 수사관, 취재진의 옷은 모두 땀에 젖어 있었다.
사진은 기록이다. 이 장면은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정당 해산 심판을 받게 한 내란음모 혐의 수사가 얼마나 살벌한 분위기에서 시작됐는지 말한다. 한쪽은 국가 기간시설을 파괴하고 내란을 모의하는 조직을 막으려 했고, 다른 한쪽은 “국정원의 수사는 조작된 것”이라며 국회의원을 향한 영장 집행을 저지하며 맞섰다.
하동환(58)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은 혁명조직(RO) 사건 수사과장으로 당시 여의도 국회 현장에 와 있었다. 일반적인 공안 사건에서 수사 지휘자가 현장에서 몸싸움을 직접 하는 경우는 드물다. 공무집행방해 혐의가 추가되기 때문에 압수수색 현장을 막아서는 자들도 웬만해서는 없다.

2013년 8월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이석기 의원 사무실에서 국정원 직원들과 통합진보당 관계자들이 압수수색 영장 집행 직전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오른쪽에서 둘째 하얀 와이셔츠를 입은 사람이 하동환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이다. 당시에는 RO 담당 수사과장이었다. 당원들에게 옷깃을 잡히고 모자이크로 표기된 사람도 국정원 수사관이다. 뉴스1
압수수색 과정에서 통진당 내 NL 계열의 RO 중심의 서열 관계를 목격한 일화를 하동환은 전했다. 통진당 소속 현역 국회의원이 의원실에 들어오자 당시에 이석기 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하던 핵심 당원이 반말 조로 “저쪽으로 가란 말이야” “2시 회의에서 결정하기로 했잖아” 하고 언성을 높였다. RO에서 입지가 약했던 현역 의원은 보좌관의 지시를 순순히 따랐다. “지하당 RO 내 서열관계에 따라 이들이 움직인다는 걸 보여줬던 장면”이라고 하동환은 회상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리가!” 현역 의원에 반말…이석기 보좌관, RO 실세였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995
“저리가!” 현역 의원에 반말…이석기 보좌관, RO 실세였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995
③이석기RO는 ‘꼬리따기’ 명수…휴대전화 통화음도 암호였다

지난해 7월 하동환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이 미국 워싱턴DC 국제 스파이 박물관을 방문한 모습. 사진 하동환
“종이에 쓰지 마라.”
“공중전화만 사용하라.”
“지퍼가 달린 주머니에 USB를 넣어라.”
스파이의 내부 보안수칙은 이와 같이 정리돼 있다. 그들은 기억에 의존한다. 회합 장소는 e메일로 보내지 않는다. 공중전화만이 가능한 통신 수단이었다. 회의 중엔 노트북 전원이 꺼져 있어야 했다. 하드디스크는 6개월마다 교체했고, 모든 문서는 암호화된 USB에만 저장됐다. 제목은 ‘여름 휴가 일정’ ‘경영학 수업 내용’과 같이 조직과 전혀 관계없는 내용으로 위장됐다.
위급 상황을 대비해 복구가 불가능한 파기 프로그램을 따로 사서 썼다. 수사기관 미감(尾監·미행감시를 뜻하는 은어)을 피하기 위한 ‘꼬리따기’는 훈련처럼 반복됐다. 그들은 서로의 실명을 부르지 않았다. 오직 조직명(가명)으로만 불렸다. 간혹 ‘김형’ ‘박형’처럼 성을 붙인 애칭은 허용됐다. 회합 내용을 종이에 쓰는 일도 금기였다. 어쩔 수 없이 조직과 관련된 일을 썼다면 소각하는 게 원칙이었다. 그들에게는 암기만이 유일하게 허락된 기록 매체였다.

김주원 기자
다만 조직 정보를 어떻게 감추는지, 수사관을 따돌리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를 정리한 보안수칙은 제보자를 통해 파악됐다. 지난 21일 취재팀은 하동환(58) 전 국정원 대공수사단장에게 2014년 2월 작성된 RO 1심 판결문에 기록된 그들의 보안수칙을 보여줬다. 12년 전 당시 RO의 핵심 조직원 조모(당시 50세)씨를 미감했던 일이 주마등처럼 그의 머릿속을 스쳤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석기RO는 ‘꼬리따기’ 명수…휴대전화 통화음도 암호였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737
이석기RO는 ‘꼬리따기’ 명수…휴대전화 통화음도 암호였다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4부-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737
더중앙플러스 – 남북 스파이 전쟁 탐구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기사 전문은 더 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제3부〉 북한에 납치됐던 정보사 블랙 요원의 증언
③위조여권 평양 탈출극 짰다…정구왕 풀어준 북한의 속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449
④北 탈출에 “사우나서 보자”…정보사 접선지에 숨은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6133
〈제2부〉 대북공작원 정규필 전 정보사 대령의 증언
③“금창리 핵시설” 한미 낚였다…北 ‘비닐봉투 역공작’ 전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7190
④“야동 5만달러어치 구해달라” 북한군 중좌의 황당한 연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8821
〈제1부〉 ‘공화국영웅’ 남파간첩 김동식의 인생유전
③9년 갇힌 채 적구화·밀봉 훈련…평양 간첩, 서울 사람이 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8992
④74세 할머니 간첩, 이선실…포섭 타깃은 김부겸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0769
〈제3부〉 북한에 납치됐던 정보사 블랙 요원의 증언
③위조여권 평양 탈출극 짰다…정구왕 풀어준 북한의 속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449
④北 탈출에 “사우나서 보자”…정보사 접선지에 숨은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6133
〈제2부〉 대북공작원 정규필 전 정보사 대령의 증언
③“금창리 핵시설” 한미 낚였다…北 ‘비닐봉투 역공작’ 전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7190
④“야동 5만달러어치 구해달라” 북한군 중좌의 황당한 연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8821
〈제1부〉 ‘공화국영웅’ 남파간첩 김동식의 인생유전
③9년 갇힌 채 적구화·밀봉 훈련…평양 간첩, 서울 사람이 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8992
④74세 할머니 간첩, 이선실…포섭 타깃은 김부겸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