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전공의 복귀는 개인 판단…조직적 방해 동의 못 해"

대한수련병원협의회 설문 조사에서 2000명 넘는 사직 전공의가 이달 중 복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다수의 복귀가 확인되자 이르면 다음 주 수련병원의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할 방침이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연합뉴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연합뉴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16일 정례 브리핑에서 복지부의 전공의 추가모집 가능성에 관해 “전공의들의 투쟁은 정당하고 지지한다고 말해왔지만, 개인의 다양한 사정이 있을 것”이라며 “문이 열렸을 때 돌아가겠다는 것은 개인 판단으로 하길 바란다. 거기에 조직적으로 방해하는 건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수련병원협의회 주도로 최근 진행된 전공의 복귀 의향 설문조사에서 매크로(반복 작업을 자동 수행하는 프로그램) 사용 등 조직적인 방해가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문 열렸을 때 방해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며 비판했다.
 

  전공의들은 다음 주쯤 나올 각 수련병원의 모집 공고를 지켜본 뒤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입영 특례(수련 종료 시까지 입영 유예)나 수련 특례(기존 진료과목과 연차를 그대로 인정한 복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에 먼저 입영한 전공의들의 정원 보장도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즉시 복귀’보다는 조건부 복귀를 택한 응답자가 세배가량 많았다.  

 
서울 ‘빅5’ 병원 한 전공의는 “추가 모집 소식에 다들 들썩이는 분위기”라며 “다음 주 공고에 어떤 내용이 담기느냐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필수과 한 전공의는 “다니던 직장을 정리하기로 마음을 굳혔다”며 “일부 강경파는 대선 이후 협상을 주장하지만, 투쟁이 길어지면서 너무 지쳤다”고 말했다. 


 이날 의협은 의대생 제적ㆍ유급 사태와 관련 입장도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정부와 대학은) 의대생에 대한 부당한 제적과 유급 조치를 철회하라”며 일방적인 의대 증원에 대한 국민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 총장과 학장들이 교육부로부터 심하게 압박받고 있다”며 “대학이 재량에 따라 학사 유연화 방안을 재검토할 수 있음에도 교육부가 이를 무시하고 학생들에 대한 겁박과 강요를 멈추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각 대학이 유급ㆍ제적이 확정된 의대생에 처분을 내리지 않으면 학사 점검 등을 통해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수업 공간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데 어떻게 교육부의 강요를 받아들이느냐”며 “절차적 정당성이 전혀 없는 제적ㆍ유급 조치를 당장 철회하고 정상적인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그는 이어 대선 후보들을 향해 “말도 안 되는 의대 2000명 증원을 밀어붙인 현 정부가 인제 와서 타당한 사유 없이 의대생을 제적시키는 처사가 옳다고 보는가. 학생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고 새 정부의 최우선 해결 과제로 삼아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