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지난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문재학 열사 어머니가 한국현대사연구회 소속 일본인 참배객과 슬픔을 나누고 있다. 뉴시스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된 고(故)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84) 여사가 19일 중앙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한 말이다.
그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에 대해 “아들의 얘기를 써줘 정말 감사하다. 그 고마움을 100번 말해도 부족하다”고 했다. 문 열사는 5·18을 배경으로 한 소설 『소년이 온다』 속 주인공 ‘동호’의 실제 인물이다.
“엄마, 친구가 죽었어요”

'고교생 5·18시민군' 고(故)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 여사가 지난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문 열사의 묘소를 참배하고 있다. 뉴시스
문 열사는 5·18 최후항쟁일인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이 쏜 총탄을 맞고 숨졌다. 그의 사연은 『소년이 온다』에서 친구 정대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도청에 남은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가 됐다. 지난 18일 45주년 5·18 기념식에서는 문 열사와 어머니의 사연이 영상으로 재조명되기도 했다.
김 여사는 이날 소복을 입고 기념식에 참석한 뒤 아들의 묘역을 찾았다. 그는 문 열사의 묘비를 어루만지며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은 일본인 추모객들을 맞이하기도 했다. 일본 내 한국현대사연구회 소속인 추모객 20여명은 『소년이 온다』를 읽고 5·18을 참배하기 위해 광주를 찾았다.
일본인 추모객 눈물…“슬픔 나눠줘 감사”

지난해 12월 11일 광주시청에서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인 5·18 학생 시민군 고 문재학 열사의 생전 모습이 홀로그램으로 펼쳐지고 있다. 뉴스1
그는 5·18 당시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아들을 마주했던 45년 전을 어제 일처럼 회상했다. 그는 “(아들이 숨진 지) 열흘이 지나서야 시신을 찾을 수 있었다. 그 모습이 너무 처참해 ‘내 아들이 맞나’ 싶었다”고 했다.
김 여사의 말을 듣고 울음을 터뜨린 후카츠 아츠코(71·여)씨는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읽고 5·18에 대한 관심이 커졌는데 김길자 어머니를 보면서 어머니의 사랑에 공감했다”며 “너무 슬프다. 내년에도 광주에 오겠다”고 말했다.
“올해 기념식, 슬프면서도 따뜻했다”

지난 12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학생들이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책 주인공 '동호' 실존 인물인 문재학 열사의 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뉴시스
그는 『소년이 온다』를 쓴 한강 작가에 대해서는 “(한강 작가가) 소설을 쓰기 위해 오래전에 만나러 온 적이 있었다. 그때 재학이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그동안 5·18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광주가 노력했지만, 큰 성과가 없던 상황에서 한강 작가 덕분에 국제적인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며 “내년에는 일본뿐 아니라 더 많은 나라 사람들이 광주를 찾아 5·18을 함께 기억해주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