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향후 나타날 당내 반발과 이로 인한 실현 가능성이다. 발표 이튿날인 22일 공개 반응은 “과거에도 결과적으로 40%는 물갈이했다. 아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강효상 의원)란 수준이다. “칼을 들겠다”고 한 황교안 대표의 단식 일성(一聲) 직후 나온 방안이고, 그만큼 당 지도부 의지도 강하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원칙도 세우기 전에 숫자부터 덜컥 발표하는 건 성급했다”는 반발과 “도대체 누가 이런 걸 만들었냐. 총선기획단의 권한을 넘은 일”이라는 불만이 감지된다. “현실화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① “숫자부터 덜컥?…성급하다”
![박맹우 자유한국당 총선기획단 단장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총선기획단 회의 결과를 브리핑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2/46d68dd1-1735-41df-8228-af8532b909f6.jpg)
박맹우 자유한국당 총선기획단 단장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총선기획단 회의 결과를 브리핑 하고 있다. [뉴스1]
영남의 한 중진의원은 “이기는 공천을 해야지 자르는 공천을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또 다른 영남권 의원은 “도대체 이런 걸 기획해서 올린 사람이 누구냐. 총선기획단이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처럼 컷오프 비율까지 정하는 건 처음 본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② “연쇄 탈당 우려… 막을 장치는 있나”

단식농성 사흘째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23일 오전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임현동 기자
탈당·분당 방지책을 두고도 벌써 의견이 분분하다. 한 수도권 중진의원은 “공관위를 최대한 중립적인 당 외부 인사 중심으로 꾸려 불만을 사전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며 “지금 당장 황 대표가 지시해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중립적인 외부 인사들이 주체가 돼야 국민들로부터인정 받는 쇄신이 될 것. 쇄신 대상이 주체가 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해달라”(홍준표 전 대표) 주장도 비슷한 맥락이다.
③ ‘보수 통합’과 ‘패스트트랙’이란 변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왼쪽)와 유승민 변혁 대표. [연합뉴스·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2/4cbb6594-acc7-4aa8-8f0b-b52c65962b8b.jpg)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왼쪽)와 유승민 변혁 대표. [연합뉴스·뉴스1]
본회의 상정이 다가오고 있는 선거법 개정안 역시 변수다. 지역구 축소를 골자로 한 개정안은 지역구 의석을 28석(253석→225석)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역구 축소와 지역구 3분의 1 컷오프 방침이 맞물리면 ‘쇄신 방정식’이 한층 복잡해질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역대 최대여야 변화 느낀다”
![왼쪽부터 자유한국당 추경호 전략기획부총장, 박맹우 사무총장, 이진복 총선기획단 총괄팀장.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2/8696a0d5-a80a-4ed3-b21a-2dc1451ac53f.jpg)
왼쪽부터 자유한국당 추경호 전략기획부총장, 박맹우 사무총장, 이진복 총선기획단 총괄팀장. [연합뉴스]
연쇄 탈당 우려 등 후유증과 관련해 이 의원은 “완벽할 수는 없다”면서도 “컷오프가 된 분이 다른 데로 가셔도 유권자가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컷오프 기준에 대해서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이고 공정하게”를 강조했다. 외부인사 위주 공관위원 구성으로 공천 잡음을 최소화해 보겠다고 한다. 당의 한 재선의원도 “50%라는 숫자가 주는 쇄신의 이미지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