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까지 조난자 옆 지켰다, 다이버 2명 구하고 숨진 해경

지난 6일 통영시 한산면 홍도 인근 해상에서 통영해경 구조대원 2명(좌측과 중간)과 장승포 파출소 구조대 정호종(34·오른쪽) 순경이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사진 통영해경]

지난 6일 통영시 한산면 홍도 인근 해상에서 통영해경 구조대원 2명(좌측과 중간)과 장승포 파출소 구조대 정호종(34·오른쪽) 순경이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사진 통영해경]

“보인다~”. 지난 6일 오후 3시 15분쯤 경남 통영시 한산면 홍도 인근 한 해상에 출동한 통영 해경 구조정에서 누군가 소리를 질렀다. 배와 마주 보고 있는 바위섬의 안쪽 동굴 안에서 불빛이 반짝거리는 것을 보고서다. 파도가 높아 배는 바위섬에 가까이 붙기도, 중심을 잡기도 힘들 만큼 좌우로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  

  통영 해경과 장승포파출소 구조대는 배에서 동굴 쪽으로 구명줄을 던지는 시도를 여러 차례 했다. 줄 맨 앞에 부표가 달려 조류를 타고 동굴 안으로 구명줄이 들어가게 시도한 것이다. 하지만 구명줄이 들어가지 않자 오후 4시 22분쯤 통영 해경 구조대 2명이 구명줄을 가지고 동굴 쪽으로 들어갔다. 동굴 내부에 장애물이 많을 것을 고려해 산소통 등 잠수장비를 갖추지 않고 수경과 잠수복, 오리발 등 간단한 장비만 갖춘 사실상 맨몸으로 거친 파도를 헤치고 동굴로 들어갔다.  

 동굴은 길이가 12m, 폭이 1.5m, 높이가 수면에서 5~6m 정도 되는 좁은 공간이었다. 제대로 앞이 보이질 않을 정도로 깜깜했다. 동굴 안에도 파도가 몰아쳤다. 

 6일 오후 경남 통영시 한산면 홍도 인근 해상에서 스킨스쿠버를 하던 A(41·남)씨와 B(31·여)씨가 동굴에 고립돼 해경이 구조를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6일 오후 경남 통영시 한산면 홍도 인근 해상에서 스킨스쿠버를 하던 A(41·남)씨와 B(31·여)씨가 동굴에 고립돼 해경이 구조를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조대 2명은 가까스로 동굴 안에 있던 A씨(41)와 B씨(31·여)를 만났다. A씨와 B씨는 이날 오전 8시 30분쯤 통영 원평항에서 동료 19명과 출발한 뒤 홍도 인근 해상에서 스킨스쿠버를 하던 중 높이 2~2.5m의 파도에 떠밀려 동굴로 밀려 들어갔다. 파도가 너무 쎄 자력으로 탈출이 힘든 상황이었다.  

 첫 구조는 실패했다. 원래 이 구명줄에 A씨·B씨를 묶어 한명씩 동굴 밖으로 끌어내려고 했지만 구조대가 가져간 구명줄이 바위 등에 걸려 움직이지 않아서였다. 통영 해경 장승포 파출소 구조대 소속 정호종(34) 순경이 다른 구명줄을 가지고 같은 방식으로 동굴에 진입했다. 하지만 또다시 구명줄이 바위 등에 걸리면서 움직이지 않았다. 결국 A·B씨와 구조대 3명은 동굴 안에 함께 머물다 간조 때가 되면 빠져나오기로 했다.


 이 과정에 사고가 생겼다. 정 순경이 탈진 등 이상증세를 보이다 의식을 잃었다. 정 순경은 해병 수색대 출신으로 지난해 1월 해경에 특채됐다. 구조대는 평소 체력훈련과 잠수 등 수중 훈련도 주기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날 거친 물살을 헤치며 동굴로 진입하면서 평소보다 빨리 체력이 떨어졌다. 동굴 내부에 진입한 뒤 크게 요동치는 물살 때문에 바위 등에 부딪혔을 가능성도 있고, 수시간 동안 동굴 내부의 차가운 물속에 있으면서 저체온증이 왔을 가능성도 있다.   

 
 7시간 넘게 동굴 안에서 버티던 통영해경 소속 구조대원 2명과 A·B씨는 7일 오전 1시 51분~2시 46분쯤 추가로 투입된 구조대원들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구조됐다. 하지만 정 순경은 이날 오전 10시 40분쯤 수심 약 12m 지점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다이버 2명 구하고 자신은 숨진 통영해경 정호종 순경. [사진 통영해경]

다이버 2명 구하고 자신은 숨진 통영해경 정호종 순경. [사진 통영해경]

 정 순경은 마지막까지 A·B씨 옆을 지켰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구조작업에 참여했던 김모(35) 통영해경 구조대원(경장)은 “정 순경이 오랜 시간 입수와 구조작업 등으로 탈진 증세를 보인 상황에서 파도에 휩쓸렸던 것 같다. 그런 와중에도 의식을 잃기 직전까지 A씨와 B씨를 지켰다”고 말했다.  

 통영해경 장승포 파출소 관계자는 “정 순경은 늘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게 구조활동에 나서 동료들이 큰 기대를 가졌던 후배였다”며 “이렇게 허망하게 떠나 직원 모두가 안타까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망 후 승격된 정호종 경장에 대한 영결식은 9일 오전 10시 30분 통영서울병원에서 열린다.  

통영=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