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보 개방으로 세종시 금강 주변이 잡초밭으로 변해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세종보(洑)는 해체하고 공주보는 부분해체, 백제보는 상시개방하라.”
환경부 산하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금강위원회)는 25일 대전 ICC호텔에서 회의를 열고 금강 유역 3개 보 처리 방안에 대한 최종 의견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금강위원회는 대학교수 등 민간위원 21명과 당연직(지자체장·기관장) 19명 등 42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는 27명이 참석했다. 금강위원회는 우선 세종보는 해체를 제안하되 해체 시기는 현재 환경부와 세종시가 추진 중인 자연성 회복 사업 성과와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세종시 금강에서는 생태환경 조성, 수질 개선, 유량 확보 등의 자연성 회복 사업을 추진한다.
"세종보 해체 시기, 지역 여건 고려해 결정"
이와 함께 백제보는 장기간 관측(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평가한 경제성 분석, 안전성, 수질·생태, 지역 인식 등을 감안해 상시개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결정에 대해 국민의 힘 정진석(공주·부여·청양) 의원은 "참으로 정치적 이해득실만 따진 비겁하고 불합리한 결정"이라며 "결국 보해체는 손도 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강위원회가 이날 결정한 의견은 정부가 2019년 2월 제시한 금강 보 처리방안과 큰 차이는 없다. 당시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는 세종보·공주보(금강)·죽산보(영산강) 3개는 철거하고, 백제보(금강)·승촌보(영산강) 2개는 상시 개방하라고 했다.
![공주보 전경.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9/25/c9b763df-7f00-4d01-96e3-1784ac75c138.jpg)
공주보 전경. [중앙포토]
정부, 2019년 세종보 해체 방안 제시
세종보는 당초 노무현 정부 때 건설 계획을 수립했다. 2011년 1864억원을 들여 높이 4m, 폭 360m 규모로 조성했다. 물을 확보해 세종시 경관 조성 등에 활용하자는 취지였다.
세종보, 2018년 2월, 3월 전면 개방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이날 심의·의결한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 의견과 오는 28일 열리는 영산강·섬진강유역물관리위원회 의견을 제출받아 최종 처리방안을 결정한다. 금강 3개 보를 비롯해 영산강 2개 보(승촌보·죽산보) 처리 방안은 올해 안에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결정된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