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2005년 작성된 회고록에는 고 백선엽 장군과 함께한 ‘한반도 최단거리 방어선 진행 계획’, ‘화살머리고지 사수전’ 등 6·25 전쟁 일화와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인연 등 눈여겨볼 만한 내용이 많다. 1일 제72주년 국군의날을 맞아 회고록의 주요 내용을 연재한다.
![1953년 육군 제2사단장 시절의 고 김웅수 장군.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2/9548aea0-7a8c-4746-9a6e-c06da49ac055.jpg)
1953년 육군 제2사단장 시절의 고 김웅수 장군.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
북쪽으로 올라갈 수 있었던 휴전선
![1954년 백선엽 당시 제1야전군 사령관이 김웅수 장군에게 선물한 친필 사인과 사진.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2/3342a001-7e8c-4459-99ee-c13c657ac68d.jpg)
1954년 백선엽 당시 제1야전군 사령관이 김웅수 장군에게 선물한 친필 사인과 사진.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
그는 백 장군에 대해 “중요한 정책을 부하에게 일임하는 대신 자신이 직접 관여하고 확인하는 성격이었고, 나는 그가 군단장일 때 처음 같이 일하는 경험을 가졌다”고 회고했다.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그는 백 장군과 잊지 못할 회의에 참석한다. 한·미가 전쟁 중 한반도 최단거리 방어선(철원~원산)을 구상했던 회의다. 당시 휴전선 인근에 형성된 전선을 최대한 북상시켜 철원과 원산을 잇는 전선으로 재구성한다는 계획이 등장했던 상황을 김 장군은 생생하게 증언한다.
![6·25 전쟁 휴전 직전인 1953년 7월 백선엽(왼쪽) 당시 육군참모총장이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웅수 당시 제2사단장을 격려 방문했다.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2/fa42b549-26ef-4d5f-a0a2-9964db1e4181.jpg)
6·25 전쟁 휴전 직전인 1953년 7월 백선엽(왼쪽) 당시 육군참모총장이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웅수 당시 제2사단장을 격려 방문했다.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
“심각한 표정의 군단장(백 장군)의 지시로 소수 지휘부만 군단 작전실 천막에 모였다. 거기에선 현 방어선을 한반도의 최단 방어선이 될 수 있는 선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미8군의 계획이 다뤄졌다. 우리는 공격 방향과 진출선에 관한 계획, 그리고 보안에 대해 논의했다. 신나는 진격과 전투가 예상됐다.”
![6·25 전쟁 중인 1952년 강원 화천군 소토고미 2군단을 방문한 밴 플리트(맨 앞 왼쪽 네번째) 장군, 백선엽(〃 다섯 번째) 장군, 김웅수(맨 앞 오른쪽 첫 번째) 장군.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2/f44028f6-ff2d-496d-a447-64b71df63959.jpg)
6·25 전쟁 중인 1952년 강원 화천군 소토고미 2군단을 방문한 밴 플리트(맨 앞 왼쪽 네번째) 장군, 백선엽(〃 다섯 번째) 장군, 김웅수(맨 앞 오른쪽 첫 번째) 장군.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
한반도 최단거리 방어선 계획은 무위로 돌아갔지만 이를 실현하려 한 밴 플리트 장군을 김 장군은 ‘한국군의 아버지’로 높이 평가했다.
“밴 플리트 장군은 한국군 교육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격전 중에도 훈련과 정비를 강화했고, 한국군의 증편도 가속했다. 그는 참으로 한국군의 아버지 역할을 한 사람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5년 10월 4일 상오 밴 플리트 전 사령관의 예방을 받고 환담하고 있다. 중앙포토
화살머리고지 사수
“철원평야를 수중에 넣기 위해선 백마산이 필요했고, 백마산을 위해선 여기에서 100m 떨어진 화살머리고지를 반드시 확보해야만 했다. 적은 이 고지를 탈환하려고 휴전 전에 수차례의 노력을 했다. 적의 집요한 공격으로 두 차례 이 고지가 탈환된 적도 있었다. 이곳에서 나의 사단장 시절 가장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됐다.
나는 어떤 대가를 치러서라도 철원평야를 확보하기 위해 백마고지를 필요로 했고, 이를 위해 화살머리고지가 절실했다. 화살머리고지를 뺏기면 미 7사단이 정면으로 위협받는 상황도 초래될 수 있었다.”
문제는 휴전선 확정을 앞둔 북측 역시 화살머리고지 확보가 절실했다는 것이다. 반면 미군은 몸을 사리는 분위기였다. 김 장군은 “나의 관측으로 휴전이 가까워지면서 미군의 희생을 아끼는 (미) 상부의 눈치가 역력했다”며 “이러한 실정이 적으로 하여금 공세의 기회가 됐다”고 서술했다.
![김웅수(오른쪽) 장군이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공으로 미군으로부터 공로훈장(Legion of Merit)을 받고 있다.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2/89af6239-ce99-461c-8a10-2d21932b274c.jpg)
김웅수(오른쪽) 장군이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공으로 미군으로부터 공로훈장(Legion of Merit)을 받고 있다. [김웅수 장군 가족 제공]
화살머리고지는 2018년 남북이 9·19 군사분야 합의를 체결한 뒤 공동으로 유해발굴에 나서면서 재조명됐다. 치열한 전투 과정에서 남북한 병력뿐 아니라 프랑스군, 중공군 등 모든 참전국 병력의 희생이 컸던 상징적 장소였기 때문이다.
☞김웅수 장군은
1923년 외가인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독립지사였던 조부를 따라 만주에서 유년기와 소년기를 보냈다. 1945년 귀국해 서울대 법대 재학 중 국방경비대 군사영어학교에 입학한 뒤 1946년 졸업 후 참위(당시 소위 계급)로 임관했다. 이때 국군조직법 통과를 위한 작업에 관여하는 등 국군 창설에 기여했다.
6·25 전쟁 중 백선엽 장군의 지명으로 육군 제2사단장이 돼 화살머리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고 전쟁 후에는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 육군편제 개편위원장을 지냈다. 6군단장으로 있던 1961년에는 5·16 군사 쿠데타에 반대하다 창군 동기이자 매제인 고 강영훈 전 국무총리와 함께 투옥됐다.
이후 형 집행면제 판결을 받고 풀려나 자의반 타의반으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1972년부터 1993년까지 워싱턴 D.C. 카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한 그는 2018년 94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