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140억원을 들여 김제시 백구면에 지은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 활성화 지원센터'.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만든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 전국 교육훈련기관'으로 지정됐다. 사진 전북특별자치도
인구 고령화·과소화…농촌 공동체 늘어
이런 불편을 겪는 노인들을 돌보기 위해 백운농협·진안군의료사회적협동조합·진안지역자활센터 등 10개 단체가 의기투합해 2022년 7월 ‘백운통합돌봄 사회적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조합원 129명은 마을을 돌며 집안 정리를 비롯해 방충망 수리, 공동 밥상 차리기 등을 도우며 생활편의시설이 사라진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인구 고령화·과소화로 부족해진 각종 경제·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촌 공동체가 속속 생기고 있다.

정성이 전북특별자치도 농촌사회활력과장이 지난 16일 전북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촌 공동체를 전문으로 교육·훈련하기 위해 만든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 전국 교육훈련기관'을 유치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전북특별자치도
전국 유일 교육훈련기관 전북에 유치
전북도 농촌사회활력과 정치형 주무관은 “10년 전부터 농촌에 건물을 지어 경제·사회 서비스를 보강하는 방식이 아니라 귀농·귀촌인이나 다문화 가정 등 지역에 모인 인적 자원이 자발적으로 노인 등을 돌보는 공동체나 법인이 나타났다”며 “무너져 가는 농촌의 현실상 외부에서 수혈하기보다 지역 내 다양한 구성원이 서로 뭉칠 수 있는 자생 조직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관련 법을 제정하고 교육훈련기관을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 서비스는 이미용·세탁·목욕·식사 등 생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고, 사회 서비스는 돌봄·교육·의료 등을 말한다.
교육훈련기관은 지난해 8월부터 시행 중인 ‘농촌 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법률(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정한다. 민간 분야에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포기한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지역 주민이나 자치단체가 스스로 조직한 농촌 공동체에 대한 교육·훈련을 맡는다.

지난해 12월 26일 전북 진안군 진안읍 평촌마을을 찾은 '내 집 앞 이동장터(트럭)'에서 주민들이 식료품 등을 사려고 트럭에 설치된 계단을 오르고 있다. 진안=김준희 기자
전국 사회적 농장 146곳 교육
교육훈련기관은 올해 국비 5억2800만원을 확보, 농식품부가 인증하는 사회적 농장 146곳을 대상으로 ▶사회적 농업 ▶지역 서비스 공동체 ▶특화 서비스 공동체 등 3개 분야, 38개 과목을 운영할 계획이다. 사회적 농장은 농업 활동을 통해 장애인·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돌봄·교육·고용·치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식품 구매하기 어려운 시골마을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나라살림 연구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4/19/40c6f99f-57db-4a20-aebf-756e766bc764.jpg)
식품 구매하기 어려운 시골마을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나라살림 연구소]
도, 지역 상권 활성화 기대
전북도는 교육훈련기관 유치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전북도 정성이 농촌사회활력과장은 “기관 운영에 필요한 청소 인력 등은 인근 주민을 우선 채용하고, 숙박 관련 세탁물은 지역 업체에 맡길 예정”이라며 “교육생이 주변 식당을 이용하고 인근 업체에서 제품을 구매하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전북도가 타 시·도를 제치고 교육훈련기관을 유치한 일등 공신으로 농식품부 차관을 지낸 김종훈 도 경제부지사가 거론된다. 김 부지사는 “교육훈련기관이 농촌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방 소멸 속도를 늦추는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