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박 장관은 ’그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라 피해가 컸던 업종을 지원하고 침체된 서민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그동안 중단됐던 소비 할인권 지원사업을 조심스럽게 재개하고자 한다“면서 ’방역 측면에서 안전하고 관리가 용이한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1
소비쿠폰 사업 재개

2020년 월별 생산·소비·투자 증감률.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늦어지는 회복에 소비 부양책 꺼내
그런데도 정부가 다시 소비쿠폰 카드를 꺼낸 건 경기 반등 시기가 늦어지고 있어서다. 당초 정부는 3분기를 기점으로 ‘V자 회복’을 기대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최근 생산‧투자 지표가 다시 꺾였다. 8월 전체 산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0.9% 줄었다. 3개월 만에 내림세다. 8월 설비투자도 한 달 전보다 7.7% 줄며 2개월째 감소했다.
고용 감소 폭은 다시 커졌다. 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9만2000명 줄었다. 취업자 감소 규모는 5월 이후 줄어들다가 지난달에 다시 늘었다.
그나마 일부 소비 지표가 꿈틀대는 만큼 소비 대책을 통해 내수 회복을 본격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는 게 정부 생각이다. 지난달 할인점 매출액은 1년 전보다 2.1% 늘었다. 지난 2~8월 7개월간 이어진 뒷걸음질이 멈췄다. 국내 카드 소비액은 지난달에 지난해 같은 달보다 6.4% 증가했다. 5개월 연속 오름세다.

월별 소비지표 증감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코로나 19 재확산 우려…일회성 반짝 효과”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소비 심리가 다소 회복되는 상황에서 소비쿠폰 정책은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다만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할 경우 소비뿐 아니라 경제 전반이 다시 크게 흔들릴 수 있는 만큼 방역 상황을 고려해 신중한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일회성 정책으로는 내수 회복세가 안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오정근 자유시장연구원장은 “일시적인 소비 쿠폰 지급은 ‘반짝’ 효과에 머물 수밖에 없다”며 “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가용 재원을 코로나19 피해가 큰 한계 계층에 집중적으로 쓰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