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22일 뇌물 및 성접대 혐의와 관련한 1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이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마중 나온 한 여성의 보호를 받으며 귀가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5/c3653f46-a127-4459-95dc-03f67bfc761d.jpg)
2019년 11월 22일 뇌물 및 성접대 혐의와 관련한 1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이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마중 나온 한 여성의 보호를 받으며 귀가하고 있다. [뉴스1]
"김학의 출국" 누가 말해줬나
수사 경험이 많은 검사들은 김 전 차관의 출국 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국가기관으로 청와대 민정수석실, 법무부 출입국관리본부, 경찰청 정보국 등을 꼽는다. 특히 이중 청와대 민정수석실에는 이 검사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현 이광철 민정비서관이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고 있어 더욱 주목받는다. 이 비서관은 이 검사와 사법연수원 36기 동기로 통일법학회에서 같이 활동하면서 친해졌다고 한다. 변호사가 된 후에는 같은 법무법인에서 활동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3월18일 이 당시 선임행정관이 소속된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보고를 받은 직후 "검찰과 경찰 지도부가 조직의 명운을 걸고 (김학의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라"고 지시했다.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본지와의 통화에서 "김 전 차관의 긴급 출금 과정에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광범위하게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청와대에서 검찰개혁 이슈를 띄우기 위해 김 전 차관 사건을 이용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여 청와대 배후설에 힘을 실었다.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지난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청와대 하명수사 및 선거개입 의혹 관련 수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5/8aaf4871-3d85-4094-a873-efa237427d11.jpg)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지난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청와대 하명수사 및 선거개입 의혹 관련 수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출국 저지 전부터 "출국 저지" 공개
김 전 차관의 출국 시도 사실을 통보받은 이 검사는 23일 0시 8분 인천공항에 긴급 출금 요청서를 보내 김 전 차관의 태국 방콕행 비행기 탑승을 막았다. 해당 요청서에는 김 전 차관이 2013년 무혐의 처분을 받은 서울중앙지검 사건번호가 기재돼 불법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런데 이 검사가 긴급 출금 요청서를 인천공항에 보내 실제 김 전 차관의 출국을 저지하기도 전부터 언론에는 김 전 차관의 출금 관련 보도가 나기 시작했다. 첫 보도는 22일 오후 11시 36분쯤부터 시작됐다. 김 전 차관의 출국이 저지된 23일 오전 0시 10분보다 먼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타임머신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정유진 기자 jung.yooj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