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31ed0871-7a48-45f9-832f-1d5259071d05.jpg)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EPA=연합뉴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나토의) 확장이 얼마나 이뤄질 지에 모든 것(러시아의 조치)이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날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과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는 공동 성명을 내고 “핀란드의 나토 가입을 지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나토는 핀란드(의 방위 능력)를 강화시킬 것”이라며 “핀란드 역시 모든 안보 동맹을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했다.
BBC에 따르면 니니스퇴 대통령은 성명 발표 이후 러시아의 반발을 의식한 듯 “나토 가입은 누구도 헤치려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중립국 지위를 유지해오던 핀란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나토 가입 논의가 이뤄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핀란드 국민의 나토 가입 찬성률은 20~30%에 그쳤으나 실제 침공이 이뤄진 이후 76%까지 치솟았다.
핀란드가 나토에 정식으로 가입하려면 30개 회원국 의회의 비준 절차를 거쳐야 한다. 나토 가입 신청서를 낸 뒤 실제 가입까지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어, 이 기간의 안보 공백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는 11일 핀란드와 스웨덴을 방문하고 각 국가와 영국의 상호 방위 조약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