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 삼성전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0/605d296d-009d-40f3-a78c-718c3036d1af.jpg)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 삼성전자]
반도체 설계 업체인 A사는 지난해 말 신입사원 60여 명을 뽑았다. 대부분 공대 출신이다. 하지만 현장에 투입된 인력은 한 명도 없다. 모두 재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뽑을 인력 자체가 부족하고, 뽑더라도 반도체를 전공한 학생이 거의 없다”며 “1년 정도 자체 교육을 한 후에야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도 반도체 인력 뽑기가 어려운 마당에 중소업체는 대학에 가서 읍소를 해도 사람을 데려오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국이 세계적인 반도체 강국으로 꼽히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대·중소기업 할 것 없이 뽑을 인재가 부족하다며 아우성이다. 여기에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다.
반도체 업계와 학계에선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윤석열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중앙일보가 이들의 의견을 종합해 선정한 ‘10대 과제’는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한 반도체학과 정원 확대 ▶반도체 공장 신‧증설 규제 완화 ▶투자 및 연구·개발(R&D)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인센티브 확대 ▶시스템반도체 분야 지원 강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는 국가 콘트롤타워 설립 ▶해외 기업 인수·합병(M&A) 지원 및 해외 기업 국내 유치 정책 ▶반도체 R&D 국책 사업 확대 및 예산 확충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중견‧중소기업 지원 강화 ▶차량용 반도체 및 소부장 국산화‧내재화 지원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반도체 핵심기술 확보 위한 민‧관 협력이다.
![기업과 대학원이 손잡고 반도체 계약학과를 늘리고 있지만, 반도체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각사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0/40526eaf-590a-4e78-baf0-1ef285d38af5.jpg)
기업과 대학원이 손잡고 반도체 계약학과를 늘리고 있지만, 반도체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각사 제공]
10년 간 3만명 부족한 인력 양성 시급
김소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 역시 “기업에선 더 많은 인력을 보내 달라고 하는데 학생 자체가 부족하다”며 “특히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좀 더 혜택을 주고 안정적인 지원이 제공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 반도체 연구소 같은 학교별 중점 연구 시설을 확충하고, 정부 지원을 받는 국가 반도체 연구소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 속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은 갈림길에 섰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0/2aebc89b-ccdc-4047-b36a-99ce174e8a47.jpg)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 속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은 갈림길에 섰다. [중앙포토]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29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 반도체 연구 현장을 둘러보던 중 반도체 웨이퍼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0/9f8b174a-47f5-48f8-9402-80d90069dc74.jpg)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29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 반도체 연구 현장을 둘러보던 중 반도체 웨이퍼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