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3월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뉴스1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외감기업(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 1만7827곳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이 34.1%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일시적 한계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일시적 한계기업은 외감기업 3개 중 1개꼴인 34.1%에 달한다. 이는 코로나 영향이 컸던 전년의 36.6%에 비해 2.5%p 낮아진 수치지만 2017년과 비교할 경우 6.0%p 증가했다.
특히 전체 기업의 24.0%(일시적 한계기업의 70.3%)는 지난해 영업이익 자체가 '마이너스'였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76.4%,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35.5%, 대기업의 27.6%가 일시적 한계기업이었다. 우리 산업의 중추로 볼 수 있는 제조업의 경우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 전 산업 평균보다 낮은 30.8%였다.
전경련은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에다 기업의 조달금리가 1∼3%p 올랐다고 가정했을 때의 분석도 내놓았다.
전경련에 따르면 금리가 1%p 상승했을 때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5.4%p 늘고,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이자 비용은 8조6900억원에 달했다. 2%p 올랐을 때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9.5%p 상승하고 추가 이자 비용은 17조9200억원이었다.
금리가 3%p 올랐을 때는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13.1%p 늘고, 추가 이자 비용은 27조8800억원 증가했다.
금리 3%p 인상 시의 영향을 산업별로 보면 숙박 음식업의 84.3%가 일시적 한계기업으로 전락했다. 또 부동산업(16.7%p), 제조업(14.9%p),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14.8%p),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4.6%p) 등의 분야에서도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이 급격히 높아졌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금리가 3%p 오르면 대기업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35.4%에 이르고, 중소기업의 경우 49.7%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